”항공콘솔사는 더 늘어날지도....“
코로나19로 항공콘솔사 들 과 챠터 를 한 포워더들 이 돈을 벌었다고 하니 이에 맛을 들여서 아마도 허가기준 없는 항공 콘솔사들이 점점 더 늘어 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주무부처는 반드시 설립되어야 합니다“
과거 한진해운 사태나 양대항공사의 합병 건이나 현재 발생 되는 해운쪽에 발생되는 스페이스 문제나 고운임 사태를 봤을 때 반드시 물류를 물류산업으로 지정하고 가칭 물류산업부 같은 주무부처는 반드시 설립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왜 항공 운임은 내려가지를 않는거죠?“
아무리 수요,공급에 의한 시장 원리라 하더라도 캐리어가 먼저 공급을 맞추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물량이 늘어나고 스페이스 잡기가 어려워지면 화물이 적체 되고 그 수요 때문에 화살이 고객에게 돌아와 운임이 올라간다는 것도 캐리어의 역할론을 보자면 시장 원리에 맞지 않는 것 아닌가요?
그 놈의 내부규정
항공사 입장도 이해는 하지만 항상 카고 관련 문제 생기면 많이 듣는게 내부 규정입니다. 화물 보낼 때 사전 데이터 확인 하면 예약팀에서 괜찮다고 반입하라고 해서 진행 하다가 문제 생겨서 다시 물으면 내부 규정상 안되어 있다는 말이 많았죠. 진작에 알려주면 될 것을 일을 2번 하는 경우가 생기죠. 화주한데 깨지고 반입취하료 때문에 돈 깨지고. 그래도 요즘은 덜한지 더할지는 모르겠네요.
코로나19로 항공콘솔사 들 과 챠터 를 한 포워더들 이 돈을 벌었다고 하니 이에 맛을 들여서 아마도 허가기준 없는 항공 콘솔사들이 점점 더 늘어 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주무부처는 반드시 설립되어야 합니다“
과거 한진해운 사태나 양대항공사의 합병 건이나 현재 발생 되는 해운쪽에 발생되는 스페이스 문제나 고운임 사태를 봤을 때 반드시 물류를 물류산업으로 지정하고 가칭 물류산업부 같은 주무부처는 반드시 설립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왜 항공 운임은 내려가지를 않는거죠?“
아무리 수요,공급에 의한 시장 원리라 하더라도 캐리어가 먼저 공급을 맞추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물량이 늘어나고 스페이스 잡기가 어려워지면 화물이 적체 되고 그 수요 때문에 화살이 고객에게 돌아와 운임이 올라간다는 것도 캐리어의 역할론을 보자면 시장 원리에 맞지 않는 것 아닌가요?
그 놈의 내부규정
항공사 입장도 이해는 하지만 항상 카고 관련 문제 생기면 많이 듣는게 내부 규정입니다. 화물 보낼 때 사전 데이터 확인 하면 예약팀에서 괜찮다고 반입하라고 해서 진행 하다가 문제 생겨서 다시 물으면 내부 규정상 안되어 있다는 말이 많았죠. 진작에 알려주면 될 것을 일을 2번 하는 경우가 생기죠. 화주한데 깨지고 반입취하료 때문에 돈 깨지고. 그래도 요즘은 덜한지 더할지는 모르겠네요.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MOVEMENT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