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인해 마스크가 한창 이슈다. 2월 초 기준으로 한 포워더 관계자는 하루에 마스크를 4~500만 장 보냈는데 원래 요구는 1,000만 장이었다고 한다.
최근 중국 정부는 마스크 일일 생산량을 설비 가동률 128%까지 끌어올려 생산하고 있지만 그 늘어난 생산량은 후베이가 15만개 수준, 다른 지역들이 10만개 수준이지만 그에 따르면 현지 수요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 당분간 마스크 수요는 이어질 전망이다.
이들 마스크는 항공이 막혀 있어서 주로 해상으로 보내서 베트남 등에서의 국경 간 운송을 통해 진행되는 케이스다.
2월 물량 가뭄에서 많은 포워더들은 고정비용이라고 벌자고 마스크를 다루었지만 막상 마스크를 다루는 포워더들은 한편으로 씁쓸해 하기도 한다.
마스크 단가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저런 번거로움과 고생에 비해 그렇게 쏠쏠하지 않다고도 한다.
한 관계자는 물류 마진과는 레벨이 다른 셀러들의 판매 마진을 보면서 괴리감만 더 한다고도 말한다.
이런 가운데 업계는 조금의 긴장감과 조금이 기대감이 들어서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물량 처리 전쟁이 3월에는 찾아올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대표는 챠터를 같이 진행하자고 하는 해외 트레이더들이 있는데 워낙 좁은 업계이다 보니 여기 저기 문의를 하고 있다고도 한다.
항공사 관계자들은 이제 돈 벌 때가 됐다고 농담을 하기도 한다.
콘솔업계 관계자는 사전 준비가 가장 중요하지만 최근 시장이 혼란스러운 상황인 만큼 빛 좋은 개살구 리스크도 존재한다고 말한다.
이런 성수기 아닌 성수기가 모두에게 호재로 적용될 것인지는 지켜봐야겠다. /윤훈진 부장
최근 중국 정부는 마스크 일일 생산량을 설비 가동률 128%까지 끌어올려 생산하고 있지만 그 늘어난 생산량은 후베이가 15만개 수준, 다른 지역들이 10만개 수준이지만 그에 따르면 현지 수요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 당분간 마스크 수요는 이어질 전망이다.
이들 마스크는 항공이 막혀 있어서 주로 해상으로 보내서 베트남 등에서의 국경 간 운송을 통해 진행되는 케이스다.
2월 물량 가뭄에서 많은 포워더들은 고정비용이라고 벌자고 마스크를 다루었지만 막상 마스크를 다루는 포워더들은 한편으로 씁쓸해 하기도 한다.
마스크 단가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저런 번거로움과 고생에 비해 그렇게 쏠쏠하지 않다고도 한다.
한 관계자는 물류 마진과는 레벨이 다른 셀러들의 판매 마진을 보면서 괴리감만 더 한다고도 말한다.
이런 가운데 업계는 조금의 긴장감과 조금이 기대감이 들어서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물량 처리 전쟁이 3월에는 찾아올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대표는 챠터를 같이 진행하자고 하는 해외 트레이더들이 있는데 워낙 좁은 업계이다 보니 여기 저기 문의를 하고 있다고도 한다.
항공사 관계자들은 이제 돈 벌 때가 됐다고 농담을 하기도 한다.
콘솔업계 관계자는 사전 준비가 가장 중요하지만 최근 시장이 혼란스러운 상황인 만큼 빛 좋은 개살구 리스크도 존재한다고 말한다.
이런 성수기 아닌 성수기가 모두에게 호재로 적용될 것인지는 지켜봐야겠다. /윤훈진 부장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MOVEMENT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