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 출장이나 여행 가면 많이 사먹는 식자재가 새우입니다. 최근에 베트남 물가가 올랐다고 해도 새우는 여전히 저렴합니다. 2~3만원치 사면 정말 원없이 먹기도 하고요. 그런데 막상 단기가 아니고 장기간 있다 보니까 새우를 양식하는 모습도 보게 되었는데 조금 찝찝하더군요. 베트남의 새우양식 수요가 많다 보니 양식장 확대를 위해 기존 ..
당연하지만 저희에게 연락오는 경우는 100% 화주 및 수출.수입 기업 담당자 아니면 소규모 기업의 대표나 임원들입니다. 90% 정도는 문의 내용은 비슷합니다. 어디로 화물을 보내거나 어디서 화물을 가지고 와야 한다는 것. 상황이 시급한 업체들도 있고 시장 조사를 위한 업체들도 있고 다양합니다. 나머지 5%는 다른 포워더인줄 알고 문의가 왔고 ..
”재기를 할수있다는건~“ 우리 업계에서 실패를 하고 다시 재기를 할수 있다는건 주변에 피해를 끼치지 않았다는 거지요. 그렇지 않으면 대부분 업계를 영원히 떠나든가 잠수를 타버리니까요.... ”해상 운임이 급상승중~“ 남미지역경우 해상운임이 컨테이너당 8.000불까지 치솟고 있습니다. 홍해지역 물류대란으로 운임이 ..
자주 온다고 하기에는 애매하지만 잊을만 하면 사무실로 오는 문의가 지난 세월 동안 적지 않게 우리에게는 존재한다. 전화 와서 "거기 포워더인가요?" 라는 형식의 문의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는 그런 전화 및 문의가 많이 늘어났던 기억도 있다. 물론 100% 화주 및 수출.수입 기업 담당자 아니면 소규모 기업의 대표나 임원들이다. 90%..
더 와 덜 은 상반된 뜻을 지니고 있다. 더는 좋게는 희망을 가지기도 하지만 때로는 욕심을 부르는 과욕이 되기도 하고 덜 은 부족함이나 아쉬움을 표현 하기도 한다. 사업을 예를 들자면 비즈니스가 전년도 보다 덜 되어 걱정이거나 혹은 사업이 전년도 보다 좀 더 잘 되기를 바라는 바램이 있다. 더와덜은 플러스 와 마이너스 개념이 내포 되어 있..
최근 업체들의 미국향 차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항공사들의 취항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LCC도 본격적인 항공화물 운송을 하게 되면서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급이 많아 졌음에도 불구하고 차터 수요가 늘어나는 중, 특히 그 중 미국향 차터가 증가하는 것은 중-미간 이커머스 물량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중국발 미국향 이커..
”과연 경쟁력 있는 운임이란 무엇인지.....“ 선사, 항공사에서 운임을 저렴 하게 받아내는 것이 경쟁력 있는 운임인지 아니면 화주들한테 운임을 경쟁사보다 저렴하게 제공해서 화물을 유치 하는 것이 경쟁력 있는 운임인지 의문이 들때가 있습니다. ”쿠팡 이 싹쓸이 해가고 있으니~“ 동남아시아지역에 겨우 나가고 있는 ..
물류의 발전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보며 최근 AI 등의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물류 비즈니스는 결국 사람 VS 사람 입니다. 아직까지는 오로지 가격으로 승부하는 시장이 아닙니다. 플랫폼 등은 가격 및 신속성으로 방향 가닥을 잡고 장점을 뽑내고 있지만 국제물류 시장은 그렇게 독단적으로 흘러가는 시장이 아닙니다. 결국 그런 기술 전략의 핵..
항공 차터는 다양한 카테고리 카고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 적재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실행하면 결국 수익이 남는 비즈니스라는 확신이 있습니다. 하지만 차터 내 씨앤에어 카고 혼합은 수익성 및 화물 로딩 측면에서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습니다. 게다가 씨앤에어는 한 번 받게 되면 장기적으로 프로세스가 꼬이는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로컬 비중도 적..
중동 홍수 간접 체험기 두바이로 출장 일정으로 떠났는데 그 다음 일들은 뉴스와 마찬가지입니다. 당연히 공항 폐쇄로 두바이를 가지는 않았지만 결국 옆나라 오만 호텔에서 본의 아니게 쳐박혀 있게 되었죠. 에이전트들도 워낙 처음 있는 일인지라 다들 당황했겠죠. 덤핑이 당연한 이유는 다들 알고 있죠 한국 자영업자가 약 628만명이고 미국 자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