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산업물류분야 선진화 공개토론회'
금융위기로 대표적인 글로벌 물류기업의 자산가치가 하락한 현 시점에서 국내 물류 전문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김태승 인하대 교수는 지난 3월 17일 국토해양부와 한국개발연구원이 주최한 서비스산업물류분야 선진화 공개토론회에서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지속적인 M&A로 대형화를 시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매출이 가장 많은 제3자 물류기업이 글로벌 500대 기업 중 494위인 외국 물류기업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연기금과 금융권, 대기업이 공동 출자한 글로벌 투자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국제물류투자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물류 대기업군이 글로벌 M&A에 참여할 때 상호지급보증제한도 일정기간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미, 유럽 등 기존 물류시장은 기존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어 M&A나 대규모 시설투자 없이 진입하기 어려운 만큼 인도를 비롯한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동유럽, 남미 등 신흥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 교수는 "단기적으로 현재 추진 중인 글로벌 청년 인턴사업의 하나로 '글로벌 물류 노마드(nomad)사업'을 실시해 제3국 물류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현재 진행하는 추경 예산에 소요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세계 4대 특송기업(UPS, FedEx, DHL, TNT)이 선점한 한·중·일 3국과 동북아 시장에서 3국의 공동 출자를 통한 국제 항공 특송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각국 우정국이 참여해 우편과 특송을 결합한 비즈니즈 모델의 구축 가능성도 거론됐다.
중소 물류기업을 전문화해 육상 운송업의 수급 구조를 안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개별업체를 포함한 영세화물업체를 용차조합 등 조합화, 대형화하고 단기적으로는 직접운송 의무제, 위탁화물 관리책임제 등을 병행 시행해 지입업체의 난립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물류산업정책을 추진할 실행주체로 물류산업선진화위원회를 설립하고, 재원으로 물류산업선진화 기금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나선 김세종 대한통운 상무는 "제조업군별로, 산업군별로 물류업체와 짝지어 외국 시장에 동반 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상근 삼영물류 대표이사는 "물류업계 일자리 창출은 중소물류업체와 자영업에 가까운 개별운송업자들이 맡고 있다"며 중소물류업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은 "물류산업은 원천기술이 없는 사업이다.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면 규모 확대를 통한 비용 절감과 네트워크 강화밖에 없다"며 "글로벌 진출은 불가피한 명제가 됐고, 국내 기업들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 김석융 기자
금융위기로 대표적인 글로벌 물류기업의 자산가치가 하락한 현 시점에서 국내 물류 전문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김태승 인하대 교수는 지난 3월 17일 국토해양부와 한국개발연구원이 주최한 서비스산업물류분야 선진화 공개토론회에서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지속적인 M&A로 대형화를 시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매출이 가장 많은 제3자 물류기업이 글로벌 500대 기업 중 494위인 외국 물류기업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연기금과 금융권, 대기업이 공동 출자한 글로벌 투자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국제물류투자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물류 대기업군이 글로벌 M&A에 참여할 때 상호지급보증제한도 일정기간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미, 유럽 등 기존 물류시장은 기존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어 M&A나 대규모 시설투자 없이 진입하기 어려운 만큼 인도를 비롯한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동유럽, 남미 등 신흥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 교수는 "단기적으로 현재 추진 중인 글로벌 청년 인턴사업의 하나로 '글로벌 물류 노마드(nomad)사업'을 실시해 제3국 물류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현재 진행하는 추경 예산에 소요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세계 4대 특송기업(UPS, FedEx, DHL, TNT)이 선점한 한·중·일 3국과 동북아 시장에서 3국의 공동 출자를 통한 국제 항공 특송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각국 우정국이 참여해 우편과 특송을 결합한 비즈니즈 모델의 구축 가능성도 거론됐다.
중소 물류기업을 전문화해 육상 운송업의 수급 구조를 안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개별업체를 포함한 영세화물업체를 용차조합 등 조합화, 대형화하고 단기적으로는 직접운송 의무제, 위탁화물 관리책임제 등을 병행 시행해 지입업체의 난립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물류산업정책을 추진할 실행주체로 물류산업선진화위원회를 설립하고, 재원으로 물류산업선진화 기금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나선 김세종 대한통운 상무는 "제조업군별로, 산업군별로 물류업체와 짝지어 외국 시장에 동반 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상근 삼영물류 대표이사는 "물류업계 일자리 창출은 중소물류업체와 자영업에 가까운 개별운송업자들이 맡고 있다"며 중소물류업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은 "물류산업은 원천기술이 없는 사업이다.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면 규모 확대를 통한 비용 절감과 네트워크 강화밖에 없다"며 "글로벌 진출은 불가피한 명제가 됐고, 국내 기업들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 김석융 기자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