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ICN 어워즈 개최, 화물 및 물류 분야는 KAL, TK,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수상

올해로 개항 24주년을 맞은 인천공항이 AI(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는 ‘항공 AI 혁신허브’로의 힘찬 도약을 준비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3월 28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1층 밀레니엄홀에서‘인천공항 개항 24주년 기념식 및 항공 AI 혁신허브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공사 및 자회사, 공항상주기관, 항공사, 물류업체 관계자 약 200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개항 24주년 기념 특별영상을 통해 인천공항 개항(2001.3.29.) 이후 현재까지 주요성과를 돌아보고, 이어 ‘항공 AI 혁신허브 비전 선포식’, 인천공항 서비스 경쟁력 강화 유공기관 시상식인 ‘제9회 ICN(아이씨엔) 어워즈’가 진행되었다.
이날 공사는 AI로 대표되는 미래 공항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전략인 ‘AI 혁신허브 비전’을 선포하였다. 인천공항이 개항 24년 만에 교통시설로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항으로 성장했지만, 글로벌 공항 경쟁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공항을 매개로 AI 기술 등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인천공항 4.0 시대’로의 도약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공사는 항공 AI 데이터센터, 항공 R&D(연구개발)·비즈니스 센터, 글로벌 빅테크 기업 유치 등을 골자로 하는 항공 AI 혁신허브 개발사업을 추진 중으로, 제안공모를 통해 관련기업의 제안사항을 검토한 후 향후 실제 민간사업자 모집공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제안공모에서는 서울대 AI연구원, SK텔레콤, LG CNS, KAIST 김재철AI대학원, 삼천리자산운용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하 ‘제안자 컨소시엄’)이 최우수 제안자로 선정되었다.
제안자 컨소시엄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엔비디아의 솔루션을 활용한 공항 운영모델 고도화 추진, 국내 유수 대학 AI 연구원 등과의 R&D 센터 운영, 입주계획을 밝힌 50여 개 스타트업과의 다양한 협업계획을 제안해 항공 AI 생태계 구축 분야에서 좋은평가를 받았다. 다른 제안사도 AI 데이터센터의 높은 핵심기술 역량과 AI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항공산업 고도화, 효율적인 신재생 에너지 활용계획을 보여주며 우수 제안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인천공항이 아시아 공항 최초로 가입한 ‘공항 AI 연합(Airports AI Alliance;AAA)’소속 프라포트(독일 공항 운영기업)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AWS(아마존웹서비스)의 협력 메시지도 공유하였다. AAA는 미국 애틀란타 공항, 독일 프라포트 등 주요공항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을 주축으로 구성된 공항 AI 혁신 분야 글로벌 협력체다.
이날 비전 선포에 맞춰 공사는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인천공항 제1·2 여객터미널 간 연결도로 15km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셔틀의 시범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번에 도입된 자율주행셔틀은 고속주행(80km/h)을 포함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비상시에 대비해 운전자 1명이 상시 탑승해 운행한다.
이어 진행된 ‘제9회 ICN 어워즈’에서는 △문화예술 △버스운송 △물류기업 △화물항공 △지상조업 △상업시설 △항공사 등 총 7개 분야 21개 서비스 우수 기업을 선정해 시상하였다. 또한 △정부기관 △항공사 △자원봉사단 △공사 자회사 △상업부문 총 5개 분야 10명의 직원을 ‘인천공항 친절왕’으로 선발해 시상하였다.
화물항공 분야에서는 물동량 30만t 이상 항공사는 대한항공, 3만t 이상 항공사에는 터키항공이 우수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물류기업은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엑스포라인이 선정됐다. 한편 롯데글로벌로지스는 2019년과 2021년에 이어 세번째 우수기업을 수상했다.
또한 에어프랑스와 KLM은 2016년 인천에어포트 어워즈가 첫 개최된 이후 올해로 각각 총 5회, 6회째 우수항공사로 선정되었으며 에어로케이, 유나이티드항공, 캐세이퍼시픽, 티웨이항공, 대한항공이 여객 분야에서 우수 사업자로 선정됐다.

올해로 개항 24주년을 맞은 인천공항이 AI(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는 ‘항공 AI 혁신허브’로의 힘찬 도약을 준비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3월 28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1층 밀레니엄홀에서‘인천공항 개항 24주년 기념식 및 항공 AI 혁신허브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공사 및 자회사, 공항상주기관, 항공사, 물류업체 관계자 약 200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개항 24주년 기념 특별영상을 통해 인천공항 개항(2001.3.29.) 이후 현재까지 주요성과를 돌아보고, 이어 ‘항공 AI 혁신허브 비전 선포식’, 인천공항 서비스 경쟁력 강화 유공기관 시상식인 ‘제9회 ICN(아이씨엔) 어워즈’가 진행되었다.
이날 공사는 AI로 대표되는 미래 공항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전략인 ‘AI 혁신허브 비전’을 선포하였다. 인천공항이 개항 24년 만에 교통시설로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항으로 성장했지만, 글로벌 공항 경쟁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공항을 매개로 AI 기술 등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인천공항 4.0 시대’로의 도약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공사는 항공 AI 데이터센터, 항공 R&D(연구개발)·비즈니스 센터, 글로벌 빅테크 기업 유치 등을 골자로 하는 항공 AI 혁신허브 개발사업을 추진 중으로, 제안공모를 통해 관련기업의 제안사항을 검토한 후 향후 실제 민간사업자 모집공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제안공모에서는 서울대 AI연구원, SK텔레콤, LG CNS, KAIST 김재철AI대학원, 삼천리자산운용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하 ‘제안자 컨소시엄’)이 최우수 제안자로 선정되었다.
제안자 컨소시엄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엔비디아의 솔루션을 활용한 공항 운영모델 고도화 추진, 국내 유수 대학 AI 연구원 등과의 R&D 센터 운영, 입주계획을 밝힌 50여 개 스타트업과의 다양한 협업계획을 제안해 항공 AI 생태계 구축 분야에서 좋은평가를 받았다. 다른 제안사도 AI 데이터센터의 높은 핵심기술 역량과 AI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항공산업 고도화, 효율적인 신재생 에너지 활용계획을 보여주며 우수 제안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인천공항이 아시아 공항 최초로 가입한 ‘공항 AI 연합(Airports AI Alliance;AAA)’소속 프라포트(독일 공항 운영기업)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AWS(아마존웹서비스)의 협력 메시지도 공유하였다. AAA는 미국 애틀란타 공항, 독일 프라포트 등 주요공항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 기업을 주축으로 구성된 공항 AI 혁신 분야 글로벌 협력체다.
이날 비전 선포에 맞춰 공사는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인천공항 제1·2 여객터미널 간 연결도로 15km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셔틀의 시범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번에 도입된 자율주행셔틀은 고속주행(80km/h)을 포함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비상시에 대비해 운전자 1명이 상시 탑승해 운행한다.
이어 진행된 ‘제9회 ICN 어워즈’에서는 △문화예술 △버스운송 △물류기업 △화물항공 △지상조업 △상업시설 △항공사 등 총 7개 분야 21개 서비스 우수 기업을 선정해 시상하였다. 또한 △정부기관 △항공사 △자원봉사단 △공사 자회사 △상업부문 총 5개 분야 10명의 직원을 ‘인천공항 친절왕’으로 선발해 시상하였다.
화물항공 분야에서는 물동량 30만t 이상 항공사는 대한항공, 3만t 이상 항공사에는 터키항공이 우수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물류기업은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엑스포라인이 선정됐다. 한편 롯데글로벌로지스는 2019년과 2021년에 이어 세번째 우수기업을 수상했다.
또한 에어프랑스와 KLM은 2016년 인천에어포트 어워즈가 첫 개최된 이후 올해로 각각 총 5회, 6회째 우수항공사로 선정되었으며 에어로케이, 유나이티드항공, 캐세이퍼시픽, 티웨이항공, 대한항공이 여객 분야에서 우수 사업자로 선정됐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