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TD (Technical Barrier Trade) 및 중국 내 인증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김지영 상해법인장
최근 중국의 비관세장벽(TPT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TPT 대응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1일 개최된 상하이에서 개최된 SKIFFA 포럼 설명회에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김지영 상해법인장은 중국 내에서의 TPT 및 인증 현황에 관한 설명을 했다.
김지영 법인장은 인증제도는 상품의 여권 비자와 같은 개념으로 최근 전 세계 인증제도 추세는 각 국가별로 자국 산업보호(무역상대국 견지)를 목적으로 무역기술장벽을 적극 활용하는 추세라고 언급했다.
중국의 인증 트렌드는 국제적 위상에 걸맞는 시스템.체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중국 국무원을 조직을 개편했는데 기존 CFDA(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 AQSIQ(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등 주요 관계 조직들을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으로 통합 및 신설하여 유관 업무의 관리 통일 및 일원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포괄적인 인증 체계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
김지영 법인장은 따라서 이런 중국의 인증 트렌드를 과거처럼 접근하고 대응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불거진 사드 사태가 진정되더라도 인허가 획득이 예전 수준으로 돌아가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또한 과거 ‘꽌시’에만 의존한 우회 등록은 향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김 법인장은 경고했다.
실제로 꽌시를 기반으로 한 편익 제공에 참여한 중국 관계 기관의 간부들이 최근 들어 다수가 구속, 실형을 받고 있는 추세다. 또한 이런 꽌시 사례가 발각될 경우, 관료 처벌뿐만 아니라 해당 관련 기업은 인허가 취소 뿐만 아니라 각 종 법적 제제로 중국에서의 경영활동은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중국의 인허가 제도는 일부 항목은 한국보다 강화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식품 인허가의 경우, 과거 서류 미비 및 포장 항목보다 위생 표준 및 성분 부적합 등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따라서 중국의 인증제도 변화에 대한 기업들의 사전 준비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며 이에 따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김 법인장은 말했다. 또한 중국 인증제도가 변화되고 있지만 미리 준비한다면 한국이나 중국의 인증 제도는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법인장은 수출입 기업들은 현실적으로 자체 준비보다는 검증된 KTR 등과 같은 등록대행기관 및 정부 지원 사업 등을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김지영 상해법인장
최근 중국의 비관세장벽(TPT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TPT 대응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1일 개최된 상하이에서 개최된 SKIFFA 포럼 설명회에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김지영 상해법인장은 중국 내에서의 TPT 및 인증 현황에 관한 설명을 했다.
김지영 법인장은 인증제도는 상품의 여권 비자와 같은 개념으로 최근 전 세계 인증제도 추세는 각 국가별로 자국 산업보호(무역상대국 견지)를 목적으로 무역기술장벽을 적극 활용하는 추세라고 언급했다.
중국의 인증 트렌드는 국제적 위상에 걸맞는 시스템.체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중국 국무원을 조직을 개편했는데 기존 CFDA(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 AQSIQ(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등 주요 관계 조직들을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으로 통합 및 신설하여 유관 업무의 관리 통일 및 일원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포괄적인 인증 체계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
김지영 법인장은 따라서 이런 중국의 인증 트렌드를 과거처럼 접근하고 대응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불거진 사드 사태가 진정되더라도 인허가 획득이 예전 수준으로 돌아가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또한 과거 ‘꽌시’에만 의존한 우회 등록은 향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김 법인장은 경고했다.
실제로 꽌시를 기반으로 한 편익 제공에 참여한 중국 관계 기관의 간부들이 최근 들어 다수가 구속, 실형을 받고 있는 추세다. 또한 이런 꽌시 사례가 발각될 경우, 관료 처벌뿐만 아니라 해당 관련 기업은 인허가 취소 뿐만 아니라 각 종 법적 제제로 중국에서의 경영활동은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중국의 인허가 제도는 일부 항목은 한국보다 강화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식품 인허가의 경우, 과거 서류 미비 및 포장 항목보다 위생 표준 및 성분 부적합 등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따라서 중국의 인증제도 변화에 대한 기업들의 사전 준비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며 이에 따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김 법인장은 말했다. 또한 중국 인증제도가 변화되고 있지만 미리 준비한다면 한국이나 중국의 인증 제도는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법인장은 수출입 기업들은 현실적으로 자체 준비보다는 검증된 KTR 등과 같은 등록대행기관 및 정부 지원 사업 등을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