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수요 확대에 의존 말고 제품 자체 경쟁력 강화해야
우리나라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흥 빅4 시장’에서 IT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 일본과 경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발표한 ‘주요 신흥 빅4 시장에서 한·일 및 한·중 수출 경합도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중국에서, 한·중은 베트남 시장에서 수출 경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4년 이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는 한·중·일 3국의 경합이 심해지는 반면, 중국에서 한·일 간에는 다소 완화됐다.
수출 경합도는 수출구조가 유사할수록 경쟁이 심하다는 가정 하에 특정 시장에서 국가 간의 경쟁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경쟁이 심하다는 뜻이다.
중국 시장, 한국산 휴대폰-디스플레이 일본에 밀려
우선 중국시장에서는 일본과경합 중인 석유제품, 선박, 반도체, 화학공업제품 등에서 한국산이 일본산을 제치고 경쟁력 우위를 확보한데 반해 휴대폰과 디스플레이 등 에서는 일본 제품이 경쟁력을 선점했다.
2017년 기준 중국에서 한·중 간 휴대폰의 수출 경합도가 0.980로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디스플레이(0.913), 석유제품(0.703) 선박(0.659), 기계류(0.658) 등의 순으로 경쟁이 심했다. 전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선박, 기계류 등 6개 품목에서 경합도가 상승한 반면, 자동차, 반도체, 컴퓨터 등 9개 품목은 하락했다.
중국의 전체 수입 규모는 2015~2016년 2년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지속하다 지난해 들어 플러스 증가율로 전환됐다.
2017년 중국 수입은 전년대비 17.5% 증가한 1조 7,900억 달러 기록했고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 및 일본으로부터의 수입금액 역시 지난해 들어 전년대비 각각 11.7%, 13.6% 증가했다.
중국 전체 수입 중 한국산 비중은 지난 5년간 일본산을 지속적으로 상회했다. 2017년 기준 한국산이 9.9% 차지하며 일본산(9.2%)보다 0.7%p 높다.
품목별로 보면 최근 5년간 반도체, 석유제품 등의 수입 비중이 10%를 지속 상회하며 전반적인 수입 확대를 견인 중이다.
2017년 기준 중국의 반도체 수입 비중은 16.1%, 석유제품의 비중은 13.7%로 각각 주요 품목별 수입 상위 1위,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화학공업제품(7.4%), 기계류(7.1%), 농수산물(6.5%) 등의 순으로 중국의 수입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시장, 중국산 IT 제품 압도적
인도에서는 한·일 간에 선박, 디스플레이, 농수산물 등에서 2014년 대비 2016년의 경합도가 강화된 반면, 휴대폰, 반도체, 자동차, 가전제품 등은 상대적으로 완화됐다.
자동차(0.730)의 경쟁정도가 가장 높았고, 디스플레이(0.709), 플라스틱(0.582), 선박(0.562), 휴대폰(0.539)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한·중 간에는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에서 낮은 수준의 경합을 유지한 가운데 반도체와 컴퓨터는 완화됐고, 휴대폰은 강화됐다.
인도 시장에서의 한·일 경합을 보면 한국산 자동차가 경쟁력 측면에서 일본산을 앞서나, 플라스틱과 휴대폰 등에서는 일본산이 한국산을 제치고 우위를 점했다. 중국과의 경합이 치열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 등의 경우 중국산 점유율이 각각 70%(2016년 기준)를 상회하며 중국 제품이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 수입시장은 2013년 이후 마이너스 증가율을 지속하며 그 규모가 감소세를 보였다. 2016년에는 수입금액이 전년대비 8.7% 감소에 그치며 2015년(?14.9%)보다 감소하는 정도가 둔화됐다. 한국 및 중국으로부터의 수입금액은 전년대비 각각 6.7%, 1.8% 감소한 반면 對일본 수입은 1.8% 증가했다.
한·중·일 3국의 인도 시장 내 비중을 보면 중국산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한국산이 일본산에 비해서는 소폭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인도의 對중국 수입 비중은 2012~2016년 동안 10%를 지속 상회하며 상승세를 보인 반면 일본과 한국의 경우는 각각 2%대, 3%대에 정체 중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석유제품의 수입비중이 큰 폭 하락하며 전반적인 감소를 견인 중이다. 인도의 석유제품 수입 비중은 2012년 38.1%에서 2016년 25.0%를 기록하며 13.0%p 하락했다.
다만 화학공업제품, 기계류, 휴대폰 등의 대부분의 품목에서 2016년 비중이 2012년 대비 전반적으로 소폭이나마 상승했다.
인도네시아, 한-중 경쟁 치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는 한·일 및 한·중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품목별로는 2016년 현재 한·일 간에 반도체의 경합도가 0.728로 주요 15개 품목 중 가장 컸으며, 컴퓨터(0.598)와 석유제품(0.576) 순이었다.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반도체와 컴퓨터의 경합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는 등 15개 품목 중 8개에서 경합도가 상승했다. 한·중 간 경합관계가 심화된 품목은 디스플레이(0.945), 휴대폰(0.759), 반도체(0.733) 등이었다.
인도네시아 시장을 보면 일본과의 경합이 치열한 반도체의 경우 한국산 점유율 상승 폭이 일본산 점유율 하락 폭을 상회하며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중국과의 경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의 경우 2014년 이후 지난 3년간 중국산을 제치고 한국산이 우위를 차지했다.
인니 수입은 2013~2016년 동안 감소세를 이어가며 연평균 8.3% 감소했다. 2016년 수입금액이 전년대비 4.9% 감소에 그친 1,357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對한국·일본 수입도 각각 20.8%, 2.1% 감소했다.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대비 4.7%증가한 308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5년 간 인니 수입시장 내 중국산 비중은 상승한 반면 일본산과 한국산 비중은 점진적으로 하락했다. 對중국 수입 비중은 2012년 15.3%에서 2016년 22.7%로 7.4%p 상승한 반면 對한국 수입 비중은 2016년 4.9%로 2012년 대비 1.3% 하락했다.
2012~2016년 동안 주요 15개 품목 중 11개 품목에서의 비중 상승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 철강, 자동차 등의 비중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수입 감소를 견인했다.
석유제품 경우 2012년 22.3%에서 2016년 14.2%로 8.1%p 하락했으며 자동차, 철강, 선박도 각각 2012년 대비 2016년에 1.2%p, 1.1%p, 0.2%p 하락했다.
베트남, 한국 비중 5년간 상승...일본 점진적 하락
베트남에서는 일본과 반도체(0.891), 휴대폰(0.708), 디스플레이(0.700) 등에서 경쟁했다. 같은 품목에서 중국과의 경합도 치열했는데, 특히 2016년 기준 디스플레이의 경합도가 0.983으로 1에 가까울 만큼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반도체(0.758)과 휴대폰(0.756)이 뒤를 이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일본과의 경합 관계가 심화된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플라스틱의 경우 한국산 제품의 수출경쟁력이 일본산을 앞선 가운데 특히 디스플레이의 경쟁력 상승 정도가 두드러졌다. 한·중 경합을 보면 디스플레이, 반도체, 휴대폰 등에서 중국과의 경합이 치열한데 동 품목에 대한 한국산 점유율 상승폭이 중국산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우리 수출 경쟁력이 우위를 점했다.
베트남 수입시장 규모는 2012~2016년 동안 연평균 10.4% 성장하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왔다. 2016년 對세계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5.6% 증가한 1,75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에 힘입어 對한국·중국·일본 수입도 모두 전년대비 각각 16.7%, 1.2%, 6.5% 증가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지난 5년간 중국산과 한국산 비중은 상승세를 보인 반면 일본산은 점진적인 하락세다. 2016년 對중국 및 對한국 수입비중은 2012년 대비 각각 3.1%p, 4.7%p 상승한 반면 對일본 비중은 1.6%p 하락했다.
주요 15개 품목 중 9개 품목에서 2012년 대비 2016년 수입 비중이 상승한 가운데 특히 반도체와 휴대폰의 비중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
2016년 베트남의 반도체 수입 비중은 10.3%로 2012년(6.9%)대비 3.4%p 상승하며 주요 15개 품목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기계류(9.5%)와 섬유류(9.2%) 등도 9%를 상회하며 각각 2위, 3위를 기록했다. 휴대폰의 수입비중은 2012년 4.7%에서 2016년 6.9%로 2.2%p 상승했다.
현지 수요 확대 의존 벗어나 제품 경쟁력 절실
한편, 인도네시아에서 일본과 경합 중인 반도체의 한국산 점유율이 최근 상승했고, 중국과의 경합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도 한국 제품 경쟁력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에서 일본, 중국과의 경합이 치열한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도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인도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독보적인 차이로 선점 중인데 인도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 제품 차별화,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 중장기적인 수출 경쟁력 확보 노력이 국내 업체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 강내영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제품을 중심으로 신흥 빅4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지만 중국, 일본과의 경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는 빅4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수입수요 확대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제품 자체의 경쟁력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흥 빅4 시장’에서 IT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 일본과 경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발표한 ‘주요 신흥 빅4 시장에서 한·일 및 한·중 수출 경합도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중국에서, 한·중은 베트남 시장에서 수출 경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4년 이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는 한·중·일 3국의 경합이 심해지는 반면, 중국에서 한·일 간에는 다소 완화됐다.
수출 경합도는 수출구조가 유사할수록 경쟁이 심하다는 가정 하에 특정 시장에서 국가 간의 경쟁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경쟁이 심하다는 뜻이다.
중국 시장, 한국산 휴대폰-디스플레이 일본에 밀려
우선 중국시장에서는 일본과경합 중인 석유제품, 선박, 반도체, 화학공업제품 등에서 한국산이 일본산을 제치고 경쟁력 우위를 확보한데 반해 휴대폰과 디스플레이 등 에서는 일본 제품이 경쟁력을 선점했다.
2017년 기준 중국에서 한·중 간 휴대폰의 수출 경합도가 0.980로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디스플레이(0.913), 석유제품(0.703) 선박(0.659), 기계류(0.658) 등의 순으로 경쟁이 심했다. 전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선박, 기계류 등 6개 품목에서 경합도가 상승한 반면, 자동차, 반도체, 컴퓨터 등 9개 품목은 하락했다.
중국의 전체 수입 규모는 2015~2016년 2년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지속하다 지난해 들어 플러스 증가율로 전환됐다.
2017년 중국 수입은 전년대비 17.5% 증가한 1조 7,900억 달러 기록했고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 및 일본으로부터의 수입금액 역시 지난해 들어 전년대비 각각 11.7%, 13.6% 증가했다.
중국 전체 수입 중 한국산 비중은 지난 5년간 일본산을 지속적으로 상회했다. 2017년 기준 한국산이 9.9% 차지하며 일본산(9.2%)보다 0.7%p 높다.
품목별로 보면 최근 5년간 반도체, 석유제품 등의 수입 비중이 10%를 지속 상회하며 전반적인 수입 확대를 견인 중이다.
2017년 기준 중국의 반도체 수입 비중은 16.1%, 석유제품의 비중은 13.7%로 각각 주요 품목별 수입 상위 1위,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화학공업제품(7.4%), 기계류(7.1%), 농수산물(6.5%) 등의 순으로 중국의 수입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시장, 중국산 IT 제품 압도적
인도에서는 한·일 간에 선박, 디스플레이, 농수산물 등에서 2014년 대비 2016년의 경합도가 강화된 반면, 휴대폰, 반도체, 자동차, 가전제품 등은 상대적으로 완화됐다.
자동차(0.730)의 경쟁정도가 가장 높았고, 디스플레이(0.709), 플라스틱(0.582), 선박(0.562), 휴대폰(0.539)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한·중 간에는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에서 낮은 수준의 경합을 유지한 가운데 반도체와 컴퓨터는 완화됐고, 휴대폰은 강화됐다.
인도 시장에서의 한·일 경합을 보면 한국산 자동차가 경쟁력 측면에서 일본산을 앞서나, 플라스틱과 휴대폰 등에서는 일본산이 한국산을 제치고 우위를 점했다. 중국과의 경합이 치열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 등의 경우 중국산 점유율이 각각 70%(2016년 기준)를 상회하며 중국 제품이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 수입시장은 2013년 이후 마이너스 증가율을 지속하며 그 규모가 감소세를 보였다. 2016년에는 수입금액이 전년대비 8.7% 감소에 그치며 2015년(?14.9%)보다 감소하는 정도가 둔화됐다. 한국 및 중국으로부터의 수입금액은 전년대비 각각 6.7%, 1.8% 감소한 반면 對일본 수입은 1.8% 증가했다.
한·중·일 3국의 인도 시장 내 비중을 보면 중국산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한국산이 일본산에 비해서는 소폭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인도의 對중국 수입 비중은 2012~2016년 동안 10%를 지속 상회하며 상승세를 보인 반면 일본과 한국의 경우는 각각 2%대, 3%대에 정체 중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석유제품의 수입비중이 큰 폭 하락하며 전반적인 감소를 견인 중이다. 인도의 석유제품 수입 비중은 2012년 38.1%에서 2016년 25.0%를 기록하며 13.0%p 하락했다.
다만 화학공업제품, 기계류, 휴대폰 등의 대부분의 품목에서 2016년 비중이 2012년 대비 전반적으로 소폭이나마 상승했다.
인도네시아, 한-중 경쟁 치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는 한·일 및 한·중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품목별로는 2016년 현재 한·일 간에 반도체의 경합도가 0.728로 주요 15개 품목 중 가장 컸으며, 컴퓨터(0.598)와 석유제품(0.576) 순이었다.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반도체와 컴퓨터의 경합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는 등 15개 품목 중 8개에서 경합도가 상승했다. 한·중 간 경합관계가 심화된 품목은 디스플레이(0.945), 휴대폰(0.759), 반도체(0.733) 등이었다.
인도네시아 시장을 보면 일본과의 경합이 치열한 반도체의 경우 한국산 점유율 상승 폭이 일본산 점유율 하락 폭을 상회하며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중국과의 경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의 경우 2014년 이후 지난 3년간 중국산을 제치고 한국산이 우위를 차지했다.
인니 수입은 2013~2016년 동안 감소세를 이어가며 연평균 8.3% 감소했다. 2016년 수입금액이 전년대비 4.9% 감소에 그친 1,357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對한국·일본 수입도 각각 20.8%, 2.1% 감소했다.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대비 4.7%증가한 308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5년 간 인니 수입시장 내 중국산 비중은 상승한 반면 일본산과 한국산 비중은 점진적으로 하락했다. 對중국 수입 비중은 2012년 15.3%에서 2016년 22.7%로 7.4%p 상승한 반면 對한국 수입 비중은 2016년 4.9%로 2012년 대비 1.3% 하락했다.
2012~2016년 동안 주요 15개 품목 중 11개 품목에서의 비중 상승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 철강, 자동차 등의 비중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수입 감소를 견인했다.
석유제품 경우 2012년 22.3%에서 2016년 14.2%로 8.1%p 하락했으며 자동차, 철강, 선박도 각각 2012년 대비 2016년에 1.2%p, 1.1%p, 0.2%p 하락했다.
베트남, 한국 비중 5년간 상승...일본 점진적 하락
베트남에서는 일본과 반도체(0.891), 휴대폰(0.708), 디스플레이(0.700) 등에서 경쟁했다. 같은 품목에서 중국과의 경합도 치열했는데, 특히 2016년 기준 디스플레이의 경합도가 0.983으로 1에 가까울 만큼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반도체(0.758)과 휴대폰(0.756)이 뒤를 이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일본과의 경합 관계가 심화된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플라스틱의 경우 한국산 제품의 수출경쟁력이 일본산을 앞선 가운데 특히 디스플레이의 경쟁력 상승 정도가 두드러졌다. 한·중 경합을 보면 디스플레이, 반도체, 휴대폰 등에서 중국과의 경합이 치열한데 동 품목에 대한 한국산 점유율 상승폭이 중국산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우리 수출 경쟁력이 우위를 점했다.
베트남 수입시장 규모는 2012~2016년 동안 연평균 10.4% 성장하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왔다. 2016년 對세계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5.6% 증가한 1,75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에 힘입어 對한국·중국·일본 수입도 모두 전년대비 각각 16.7%, 1.2%, 6.5% 증가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지난 5년간 중국산과 한국산 비중은 상승세를 보인 반면 일본산은 점진적인 하락세다. 2016년 對중국 및 對한국 수입비중은 2012년 대비 각각 3.1%p, 4.7%p 상승한 반면 對일본 비중은 1.6%p 하락했다.
주요 15개 품목 중 9개 품목에서 2012년 대비 2016년 수입 비중이 상승한 가운데 특히 반도체와 휴대폰의 비중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
2016년 베트남의 반도체 수입 비중은 10.3%로 2012년(6.9%)대비 3.4%p 상승하며 주요 15개 품목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기계류(9.5%)와 섬유류(9.2%) 등도 9%를 상회하며 각각 2위, 3위를 기록했다. 휴대폰의 수입비중은 2012년 4.7%에서 2016년 6.9%로 2.2%p 상승했다.
현지 수요 확대 의존 벗어나 제품 경쟁력 절실
한편, 인도네시아에서 일본과 경합 중인 반도체의 한국산 점유율이 최근 상승했고, 중국과의 경합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도 한국 제품 경쟁력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에서 일본, 중국과의 경합이 치열한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도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인도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독보적인 차이로 선점 중인데 인도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 제품 차별화,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 중장기적인 수출 경쟁력 확보 노력이 국내 업체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 강내영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제품을 중심으로 신흥 빅4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지만 중국, 일본과의 경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는 빅4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수입수요 확대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제품 자체의 경쟁력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