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업종별 수출호조 및 부진 엇갈려
우리 수출기업들이 올해 수출 증가율을 5% 내외로 전망한 가운데 최대 시장인 중국과 미국에서 업종별로 성적이 엇갈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4일 발표한 ‘2018년 수출기업 해외시장 경기전망 조사’에 따르면, 올해 수출이 ‘0∼3% 증가할 것으로 본다’고 응답한 기업이 28.7%로 가장 많았고 이어 ‘3∼5% 증가’(24.2%), ‘5~10% 증가’(19.9%)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금년도 수출증가율이 3% 이하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시장별로는 세계 경기 개선으로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수입수요의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미국(7.1%), 아세안(6.9%), 중국(6.3%) 등의 순으로 수출증가율을 높게 응답했다.
품목별로는 중국에서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수출 호조가 예상되나 무선통신기기는 글로벌 경쟁 심화로 고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자동차 및 부품 수출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철강 및 비철금속은 통상압박 심화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14.5%), 정밀기기(14.8%) 등이 두자리수 증가율을 예상하는 반면, 자동차(1.9%), 가전(6.0%) 등은 낮게 전망하여 업종별 수출 전망 차이가 컸다. 특히 반도체(14.5%)는 세계경기 회복 및 IT경기호조로 높은 증가율을 전망하였으며 자동차(1.9%)는 완성차 판매 부진 및 글로벌 경쟁심화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보였다.
2018년 수출 호조가 기대되는 시장과 부진이 우려되는 시장에 대해서는 모두 중국과 미국을 선택하여 주력시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업종별로 교차했다.
가장 기대되는 시장은 중국(20.8%), 미국(20.4%), 베트남(18.6%) 순이었으며 가장 우려되는 시장도 중국(39.9%), 미국(29.8%) 순으로 응답했다.
미국과 중국은 경기 호조가 전망되는 가운데 미-중간 통상분쟁 및 수입규제 등의 영향으로 시장의 불투명성이 증대된 것으로 무역협회는 분석했다.
중국시장의 경우, 정유업계는 중국의 석유수요 증가에 따른 호조를 전망하였으며 무선통신기기는 중국시장내 글로벌 경쟁심화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시장의 경우, 북미지역 완성차 판매부진을 이어왔던 자동차/부품은 수출부진 개선을 기대하였고 철강/비철금속은 최근 미국 정부의 통상압박에 따른 부진을 전망했다.
올해 수출시장을 낙관하는 주된 이유로는 ‘신규 바이어 확보’(37.6%), ‘수출국 경기 회복’(22.6%) 등 수요 확대를 꼽았다. 반대로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보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보호무역주의 심화’(39.0%), ‘제품 경쟁력 상실’(21.1%) 등이 꼽혔다.
수출기업들은 경쟁국과 차별화를 위해 ‘가격 인하’(28.4%), ‘품질 혁신’(27.6%), ‘기술 개발’(21.6%) 등이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신제품 부족’(18.4%), ‘현지시장 정보 부족’(17.8%), ‘자금 부족’(16.7%) 등을 호소했다.
한편 설문 응답기업의 49%가 ‘올해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해 ‘없다’(51%)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66.2%), ‘중견기업’(50.8%), ‘중소기업’(46.9%) 순으로 나타나 기업규모가 클수록 고용계획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 수출기업들이 올해 수출 증가율을 5% 내외로 전망한 가운데 최대 시장인 중국과 미국에서 업종별로 성적이 엇갈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4일 발표한 ‘2018년 수출기업 해외시장 경기전망 조사’에 따르면, 올해 수출이 ‘0∼3% 증가할 것으로 본다’고 응답한 기업이 28.7%로 가장 많았고 이어 ‘3∼5% 증가’(24.2%), ‘5~10% 증가’(19.9%)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금년도 수출증가율이 3% 이하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시장별로는 세계 경기 개선으로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수입수요의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미국(7.1%), 아세안(6.9%), 중국(6.3%) 등의 순으로 수출증가율을 높게 응답했다.
품목별로는 중국에서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수출 호조가 예상되나 무선통신기기는 글로벌 경쟁 심화로 고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자동차 및 부품 수출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철강 및 비철금속은 통상압박 심화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14.5%), 정밀기기(14.8%) 등이 두자리수 증가율을 예상하는 반면, 자동차(1.9%), 가전(6.0%) 등은 낮게 전망하여 업종별 수출 전망 차이가 컸다. 특히 반도체(14.5%)는 세계경기 회복 및 IT경기호조로 높은 증가율을 전망하였으며 자동차(1.9%)는 완성차 판매 부진 및 글로벌 경쟁심화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보였다.
2018년 수출 호조가 기대되는 시장과 부진이 우려되는 시장에 대해서는 모두 중국과 미국을 선택하여 주력시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업종별로 교차했다.
가장 기대되는 시장은 중국(20.8%), 미국(20.4%), 베트남(18.6%) 순이었으며 가장 우려되는 시장도 중국(39.9%), 미국(29.8%) 순으로 응답했다.
미국과 중국은 경기 호조가 전망되는 가운데 미-중간 통상분쟁 및 수입규제 등의 영향으로 시장의 불투명성이 증대된 것으로 무역협회는 분석했다.
중국시장의 경우, 정유업계는 중국의 석유수요 증가에 따른 호조를 전망하였으며 무선통신기기는 중국시장내 글로벌 경쟁심화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시장의 경우, 북미지역 완성차 판매부진을 이어왔던 자동차/부품은 수출부진 개선을 기대하였고 철강/비철금속은 최근 미국 정부의 통상압박에 따른 부진을 전망했다.
올해 수출시장을 낙관하는 주된 이유로는 ‘신규 바이어 확보’(37.6%), ‘수출국 경기 회복’(22.6%) 등 수요 확대를 꼽았다. 반대로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보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보호무역주의 심화’(39.0%), ‘제품 경쟁력 상실’(21.1%) 등이 꼽혔다.
수출기업들은 경쟁국과 차별화를 위해 ‘가격 인하’(28.4%), ‘품질 혁신’(27.6%), ‘기술 개발’(21.6%) 등이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신제품 부족’(18.4%), ‘현지시장 정보 부족’(17.8%), ‘자금 부족’(16.7%) 등을 호소했다.
한편 설문 응답기업의 49%가 ‘올해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해 ‘없다’(51%)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66.2%), ‘중견기업’(50.8%), ‘중소기업’(46.9%) 순으로 나타나 기업규모가 클수록 고용계획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