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불안, 글로벌 긴축기조 등 리스크 요소 여전
1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소폭 상승했다. 다만 환율 불안, 글로벌 긴축기조, 통상마찰 우려, 북핵 변수,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아직은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전망보다 우세하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1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1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망치는 86으로 지난 4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기준치(100)를 넘어서진 못했다. 새해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보다 적다는 얘기다.
새해 기업경영의 대외 불확실성을 묻는 질문에 환율변동(52.1%), 글로벌 긴축 기조(35.5%), 통상마찰 우려(28.6%), 북핵 리스크(24.7%) 등이 꼽혔고, 대내요인으로는 노동환경 변화(68.8%),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52.0%), 가계부채(14.7%), 에너지 믹스 변화(9.3%) 등이 집계됐다 .
조성훈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해 3%대 성장은 세계경제 회복에 따른 반도체와 수출 호조세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며 “2년연속 3%대 성장 굳히기를 이어가려면, 통상마찰-북핵리스크에 대한 정부 차원의 리스크 관리와 노동환경 변화, 환율변동 등에 대한 기업 차원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출기업과 내수기업간 온도차도 있었다. 수출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95로 직전 분기(91)보다 4포인트 상승한 반면, 내수기업은 전 분기와 같은 84를 기록했다. 2016년 11월부터 13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수출 증가세가 수출부문의 체감경기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수출 증가세는 외형상 상승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월 수출이 492억1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역대 1월 수출 가운데 최대 실적이며 지난해 12월 수출 증가율 8.9%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 1월 수출 증가는 선진국·개도국 동반 성장세, 제조업 경기 호조, 유가 상승 및 주력품목 단가 상승 등에 기인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전 지역 수출이 증가했으며, 대 중국·아세안·인도 수출이 각각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 중국(133.9억 달러, +24.5%) 수출은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했다. 1월 수입은 454억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9% 증가했다.
한편 한국수출입은행은 올해 1분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12% 내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은이 발표한 ‘2017년 4분기 수출 실적 평가 및 2018년 1분기 전망’에 따르면 향후 수출경기 판단의 기준이 되는 수출선행지수가 전년동기 대비 6.8% 상승하는 등 수출 회복세가 지속됨에 따라 1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12% 내외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1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19.5로 전기대비로는 1.3%, 수출 경기의 기준이 되는 전년동기대비로는 6.8% 상승해 5분기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수은은 미국 통상압력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 환율 강세 등으로 일부 품목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수 있어 상승폭은 축소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수은은 “수출 대상국 경기회복 및 유가상승, 반도체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단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수출 증가세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대기업과 수출기업를 제외한 중소 및 내수기업은 하락세로 올해를 맞이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1월 30일 발표한 ‘2018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 및 경제심리지수’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업황BSI는 77로 전월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2월(7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다.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제조업의 경기 하락세 요인은 중소·내수기업의 경기가 부진에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전자, 자동차 등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업종의 대기업 실적 둔화가 관련 중소기업과 내수기업의 부진으로 이어졌다.
중소기업(63)과 내수기업(71)은 각각 8포인트, 6포인트 떨어져 2016년 12월 이후 1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대기업(85)과 수출기업(86)이 각각 2포인트, 1포인트 떨어진 데 비하면 하락폭이 크다.
1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소폭 상승했다. 다만 환율 불안, 글로벌 긴축기조, 통상마찰 우려, 북핵 변수,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아직은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전망보다 우세하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1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1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망치는 86으로 지난 4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기준치(100)를 넘어서진 못했다. 새해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보다 적다는 얘기다.
새해 기업경영의 대외 불확실성을 묻는 질문에 환율변동(52.1%), 글로벌 긴축 기조(35.5%), 통상마찰 우려(28.6%), 북핵 리스크(24.7%) 등이 꼽혔고, 대내요인으로는 노동환경 변화(68.8%),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52.0%), 가계부채(14.7%), 에너지 믹스 변화(9.3%) 등이 집계됐다 .
조성훈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해 3%대 성장은 세계경제 회복에 따른 반도체와 수출 호조세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며 “2년연속 3%대 성장 굳히기를 이어가려면, 통상마찰-북핵리스크에 대한 정부 차원의 리스크 관리와 노동환경 변화, 환율변동 등에 대한 기업 차원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출기업과 내수기업간 온도차도 있었다. 수출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95로 직전 분기(91)보다 4포인트 상승한 반면, 내수기업은 전 분기와 같은 84를 기록했다. 2016년 11월부터 13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수출 증가세가 수출부문의 체감경기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수출 증가세는 외형상 상승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월 수출이 492억1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역대 1월 수출 가운데 최대 실적이며 지난해 12월 수출 증가율 8.9%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 1월 수출 증가는 선진국·개도국 동반 성장세, 제조업 경기 호조, 유가 상승 및 주력품목 단가 상승 등에 기인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전 지역 수출이 증가했으며, 대 중국·아세안·인도 수출이 각각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 중국(133.9억 달러, +24.5%) 수출은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했다. 1월 수입은 454억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9% 증가했다.
한편 한국수출입은행은 올해 1분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12% 내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은이 발표한 ‘2017년 4분기 수출 실적 평가 및 2018년 1분기 전망’에 따르면 향후 수출경기 판단의 기준이 되는 수출선행지수가 전년동기 대비 6.8% 상승하는 등 수출 회복세가 지속됨에 따라 1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12% 내외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1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19.5로 전기대비로는 1.3%, 수출 경기의 기준이 되는 전년동기대비로는 6.8% 상승해 5분기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수은은 미국 통상압력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 환율 강세 등으로 일부 품목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수 있어 상승폭은 축소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수은은 “수출 대상국 경기회복 및 유가상승, 반도체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단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수출 증가세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대기업과 수출기업를 제외한 중소 및 내수기업은 하락세로 올해를 맞이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1월 30일 발표한 ‘2018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 및 경제심리지수’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업황BSI는 77로 전월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2월(7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다.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제조업의 경기 하락세 요인은 중소·내수기업의 경기가 부진에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전자, 자동차 등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업종의 대기업 실적 둔화가 관련 중소기업과 내수기업의 부진으로 이어졌다.
중소기업(63)과 내수기업(71)은 각각 8포인트, 6포인트 떨어져 2016년 12월 이후 1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대기업(85)과 수출기업(86)이 각각 2포인트, 1포인트 떨어진 데 비하면 하락폭이 크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