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문제로 정상화까지 수개월 이상 걸릴 전망"
지난해부터 계속 이어지는 LA/롱비치 항만의 적체가 최근 사측인 태평양선주협회(PMA)와 노조측인 항만노조(ILWU)간 향후 5년간 계약을 잠정적으로 합의를 함으로써 서부 항만의 적체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월 20일 금요일 저녁 PMA측에서는 항만노동자 의료비 100% 보전(1인당 3만 5천불상당), 연간 연금 8만 8,800달러까지 인상, 현 종일 근무자 평균 연봉 14만 7천불을 향후 5년간 14% 인상 등의 조건으로 합의가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중재자에 관한 ILWU의 주장, 즉 하나의 상대방이 원할 경우 일방적으로 항만 분쟁 중재자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재계약 내용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사항은 PMA, ILWU, 중재자가 각각 1사람씩 지명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오바마 정부에서 지난 2월 17일 노동부장관 (Tom Perez, Secretary of Labor)이 PMA/ILWU측 면담을 하였고, 2월 20일까지 합의를 하지 못할 경우 노.사 양측의 의사결정권자가 2월 24일까지 워싱턴 DC에 가서 종결 될 때까지 협상을 벌이라는 요구에 양자 모두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상호간의 합의를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LA/LGB 항만의 정상화까지는 앞으로 최소한 2달이 걸릴 것이라고 선사 관련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더 나아가 트럭 운송사들은 6개월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엇갈린 전망을 하고 있다.
2월12일부터 2월 16일까지 4일동안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중단하여, 롱비치 항구에는 34대의 컨테이너선이 정박을 하고 있고, 터미날 내에 29대의 선박이 작업중으로 화물의 적체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LA/LGB항에서는 금일부터 야간 작업을 속개하여 평소 40%대의 컨테이너의 선적 작업 요율성이 개선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나, 대형선박의 증가와 샤시의 공급문제, 메뉴얼을 지키면서 일하는 미국 부두 노동자들의 작업속도가 급속히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적어 항만의 적체는 최소 2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되며, 당분간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활하지 못했던 오랜지 등 신선과일에 대한 수출입이 다소 정상화 될 전망이다.
LA항 세로아카(Gene Seroaka) 상무는 현재 터미날 내 야드 사용률이 95~97%에 달하고 있다며, 80%이상이면 컨테이너 적재 공간이 없어 서비스 수준이 크게 하락한다고 언급했는데 LA.LGB외항에 묘박 중인 선박이 터미날에 접안해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해 15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현재 진행중인 부산발 수입화물의 경우 17일 도착한 선박이 3월 5일 터미날에 접안이 가능하다고 선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확인하고 있으며, 내륙운송을 통하여 고객에게 운송하는 기간도 최소 2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산항 출발 미국 LA까지 총 운송 기간은 평소 약 15일 대비 현재 기준 45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신 자료에 의하면 지난 1월 LA와 LGB의 전년동기 대비 물동량은 30%와 25% 감소해 두 항구의 물동량은 48만 8,900TEU로 예상치의 25%수준이다. 이에 비해 동부 항만은 지속 증가하여 서배너(Savannah)항 26%, 찰스턴(Charleston)항 19%, 노포크(Norfolk) 9%, 뉴욕/뉴저지(New York-New Jersey)항은 5%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이번 협상의 종료로 인하여 미국 서부항만의 물동량이 증가하고, 동부지역은 물량이 감소해 부산발 기준 $5,000 수준으로 상승했던 동부지역의 해상운임이 다소 인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화주 손실 눈덩이로 커져
또 다른 관계자들에 따르면 양측의 극적인 합의로 LA와 롱비치의 항만근로자들이 지난 2월 21일부터 업무에 복귀했지만 수많은 적체 물량들을 제대로 소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제 지난 21일까지 LA항에 닻을 내리고 있는 화물선만 30척에 달하고 더 먼 바다에서 입항을 기다리고 있는 화물선도 24척이나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LA항만의 진 세로카 이사는 "완전히 정상화되기 까지는 3개월 정도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우선적으로 군에 납품해야 하는 프로듀스 등 상하기 쉬운 물류들과 주요 소매업체들을 위한 자동차나 상품들을 먼저 처리하는 등, 세밀한 계획에 맞춰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2년 노사분쟁으로 인해 10일간 항만이 패쇄됐을 때도 정상화 되기까지는 2~3개월이 더 소요됐었다.
하지만 항만 재개에도 이번 사태로 큰 타격을 입은 소매상, 제조업체, 농장주들의 고통은 쉽게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LA와 롱비치 항구를 통해 수입물량의 50%를 처리해오던 전국의류 및 신발협회(AAFA·American Apparel & Footwear Association)측은 "이번 사태로 인해 우리 업계도 커다란 손실을 입었다"며 "항구가 오픈하지 않으면 무역을 할 수 없는 입장에서는 왜 이런 사태가 반복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LA, 오클랜드, 타코마 등을 포함한 서부 항만에서는 연간 1조 달러에 달하는 물류를 처리하고 있다. / LA 통신원 = WD글로벌로지스틱스 허운동 사장
지난해부터 계속 이어지는 LA/롱비치 항만의 적체가 최근 사측인 태평양선주협회(PMA)와 노조측인 항만노조(ILWU)간 향후 5년간 계약을 잠정적으로 합의를 함으로써 서부 항만의 적체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월 20일 금요일 저녁 PMA측에서는 항만노동자 의료비 100% 보전(1인당 3만 5천불상당), 연간 연금 8만 8,800달러까지 인상, 현 종일 근무자 평균 연봉 14만 7천불을 향후 5년간 14% 인상 등의 조건으로 합의가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중재자에 관한 ILWU의 주장, 즉 하나의 상대방이 원할 경우 일방적으로 항만 분쟁 중재자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재계약 내용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사항은 PMA, ILWU, 중재자가 각각 1사람씩 지명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오바마 정부에서 지난 2월 17일 노동부장관 (Tom Perez, Secretary of Labor)이 PMA/ILWU측 면담을 하였고, 2월 20일까지 합의를 하지 못할 경우 노.사 양측의 의사결정권자가 2월 24일까지 워싱턴 DC에 가서 종결 될 때까지 협상을 벌이라는 요구에 양자 모두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상호간의 합의를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LA/LGB 항만의 정상화까지는 앞으로 최소한 2달이 걸릴 것이라고 선사 관련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더 나아가 트럭 운송사들은 6개월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엇갈린 전망을 하고 있다.
2월12일부터 2월 16일까지 4일동안 선적 및 하역 작업을 중단하여, 롱비치 항구에는 34대의 컨테이너선이 정박을 하고 있고, 터미날 내에 29대의 선박이 작업중으로 화물의 적체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LA/LGB항에서는 금일부터 야간 작업을 속개하여 평소 40%대의 컨테이너의 선적 작업 요율성이 개선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나, 대형선박의 증가와 샤시의 공급문제, 메뉴얼을 지키면서 일하는 미국 부두 노동자들의 작업속도가 급속히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적어 항만의 적체는 최소 2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되며, 당분간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활하지 못했던 오랜지 등 신선과일에 대한 수출입이 다소 정상화 될 전망이다.
LA항 세로아카(Gene Seroaka) 상무는 현재 터미날 내 야드 사용률이 95~97%에 달하고 있다며, 80%이상이면 컨테이너 적재 공간이 없어 서비스 수준이 크게 하락한다고 언급했는데 LA.LGB외항에 묘박 중인 선박이 터미날에 접안해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해 15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현재 진행중인 부산발 수입화물의 경우 17일 도착한 선박이 3월 5일 터미날에 접안이 가능하다고 선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확인하고 있으며, 내륙운송을 통하여 고객에게 운송하는 기간도 최소 2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산항 출발 미국 LA까지 총 운송 기간은 평소 약 15일 대비 현재 기준 45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신 자료에 의하면 지난 1월 LA와 LGB의 전년동기 대비 물동량은 30%와 25% 감소해 두 항구의 물동량은 48만 8,900TEU로 예상치의 25%수준이다. 이에 비해 동부 항만은 지속 증가하여 서배너(Savannah)항 26%, 찰스턴(Charleston)항 19%, 노포크(Norfolk) 9%, 뉴욕/뉴저지(New York-New Jersey)항은 5%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이번 협상의 종료로 인하여 미국 서부항만의 물동량이 증가하고, 동부지역은 물량이 감소해 부산발 기준 $5,000 수준으로 상승했던 동부지역의 해상운임이 다소 인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화주 손실 눈덩이로 커져
또 다른 관계자들에 따르면 양측의 극적인 합의로 LA와 롱비치의 항만근로자들이 지난 2월 21일부터 업무에 복귀했지만 수많은 적체 물량들을 제대로 소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제 지난 21일까지 LA항에 닻을 내리고 있는 화물선만 30척에 달하고 더 먼 바다에서 입항을 기다리고 있는 화물선도 24척이나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LA항만의 진 세로카 이사는 "완전히 정상화되기 까지는 3개월 정도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우선적으로 군에 납품해야 하는 프로듀스 등 상하기 쉬운 물류들과 주요 소매업체들을 위한 자동차나 상품들을 먼저 처리하는 등, 세밀한 계획에 맞춰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2년 노사분쟁으로 인해 10일간 항만이 패쇄됐을 때도 정상화 되기까지는 2~3개월이 더 소요됐었다.
하지만 항만 재개에도 이번 사태로 큰 타격을 입은 소매상, 제조업체, 농장주들의 고통은 쉽게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LA와 롱비치 항구를 통해 수입물량의 50%를 처리해오던 전국의류 및 신발협회(AAFA·American Apparel & Footwear Association)측은 "이번 사태로 인해 우리 업계도 커다란 손실을 입었다"며 "항구가 오픈하지 않으면 무역을 할 수 없는 입장에서는 왜 이런 사태가 반복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LA, 오클랜드, 타코마 등을 포함한 서부 항만에서는 연간 1조 달러에 달하는 물류를 처리하고 있다. / LA 통신원 = WD글로벌로지스틱스 허운동 사장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