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미얀마, 페루 등 주요 항만, 물류사업 가능성 높아
최근 새롭게 따오르고 있는 극동러시아를 비롯해, 포스트차이나로 주목받는 미얀마, 남미개발을 선도하는 페루, 유럽-중동-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알제리 등 잠재력을 가진 거점 국가의 항만 개발 사업에 관한 정보를 소개하는 장이 마련됐다.
지난달 27일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주관하는 투자설명회가 개최됐다. 이 날 자리에서는 러시아 슬라비안카항, 미얀마 띨라와항, 페루 마르코나항, 알제리 젠젠항 등 6개 항만의 현황과 투자 정보 등이 소개되었다. 김성범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장은 이 날 설명회에서 “이번 소개되는 사업 분야는 해운.물류 기업과 에너지.건설.제조 등 화주기업의 동반진출이 가능한 분야로 내년부터 관련 지원사업도 본격 추진하겠다” 고 밝혔다.
극동 러시아 슬라비안카항
극동 러시아는 북극해 항로 운영의 최대 수혜 지역 중 하나로 중국 동북3성 물량의 효율적인 물류 루트일 뿐 아니라 러시아 정부차원에서 국가 균형발전 및 신성장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는 지역이다.
Tranzit-DV 그룹은 9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지주회사로 정유와 선박급유 등 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물류.무역 분야로 영역을 확대하면서 극동 러시아에서 복합물류사업을 추진 중이며 슬라비안카항을 중심으로 한 유류 내빙선 운영과 플로팅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을 비롯하여 자루비노항의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등의 사업 확대를 계획 중이다.
Tranzit-DV 그룹은 우선적으로 북극해 운항이 가능한 유류 내빙선 3척을 7,750만 달러에 구입하고 1,250만 달러를 투입해 플로팅 컨테이너 터미널 설치를 추진하면서 해외 투자유치를 고려 중이다.
미얀마, 띨라와항 오일터미널 사업
서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길목에 위치한 미얀마는 전략적 요충지로 각광받아 왔다. 수입의 80%, 수출의 43%가 해상무역을 통해 운송되는 미얀마의 최다 물동량 처리 항만은 양곤항으로 미얀마 전체 수출입 물동량의 90%를 처리하고 있다.
미얀마 KMA 그룹의 자회사인 KMA Shipping은 오일 터미널 및 배후 보관시설의 개발.운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MA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매월 상당량의 유류를 미얀마로 수입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양곤의 유류수입 수요 증가 추세와 비교해 보관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을 착안하여 KMA Shipping을 통해 양곤에서 약 25km 떨어져 있는 띨라와공업지대에 25에이커 상당의 부지를 확보하고 탱크 2기를 건설 중에 있다.
KMA는 향후 추가적으로 4기의 탱크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건설비용과 터미널 운영 노하우를 확보하기 위해 외구계 기업과 합작투자 등을 고려 중이다.
페루 항만개발 사업
중남미 국가 중 가장 높은 경제 성장세를 보여온 페루는 광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투자 유입으로 지난 2003년 이후 매년 6%이상의 성장세를 지속해 왔다. 풍부한 광물자원을 바탕으로 지난해 대외교역은 45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한 바 있다. 교역 비중으로 우리나라는 페루의 9번째 수출국이며 7번째 수입 대상국이다.
페루 항만개발 사업은 지난 12년 7월 체결된 한국 해양수산부와 페루 교통통신부 간 항만개발 협력에 관한 MOU에 근거하여 추진 중인 정부 간 협력 사업이다.
현재 페루는 경제성장 및 에너지 분야 투자로 해상 물동량이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어 페루 교통통신부는 항만시설 확충 및 항만하역 능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페루 정부는 중부 지역의 광물, 농산물 등 운송을 담당할 신규 항만 개발 예정지로 마르코나항을 선정하였으며 항만 개발에 관련된 협력 방안을 우리나라에 요청한 상태다.
지난 2009년 마르코나항은 국가 주요 개발사업으로 지정되었지만 인근 지역의 광산 생산일시가 2016년 이후로 예상되어 우선 발주 순위에서 밀린 바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마르코나 신항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페루 정부에 제공할 예정이며 이번 용역 결과가 페루 정부의 개발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한국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페루 정부의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알제리 항만개발 사업
원유 세계 14위, 천연가스 세계 8위의 자원부국인 알제리는 아프리카 3위의 경제대국으로 꾸준한 성장세가 전망되고 있다. 알제리는 해안선을 따라 약 40개의 항만을 운영 중에 있으나 일부항은 소규모, 시설 낙후, 비효율적인 운영 등으로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알제리 항만개발 사업은 우리나라 해양수산부와 알제리 교통부 간의 항만개발 협력에 관한 합의의사록에 근거하여 추진 중인 정부 간 항만협력사업이다.
알제리 정부는 SNAT 2025(국가 중기계획)에 의거 각종 인프라 사업을 활발히 유치 중이며 항만 부문에서도 유류, 가스 등 에너지 수출 증가 및 대 유럽간 물동량 증가에 따른 항만기반시설 확충, 노후 항만시설 및 운영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알제리 교통부는 중심항만인 수도 알제항의 포화에 따른 항만 확장 및 대체항만의 필요성, 젠젠.안나바 항 등 주요 6개 항만에 대한 조속한 국가사업 반영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화방안을 우리정부에 요청해 왔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약 1년에 걸쳐 6개항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타탕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 달 안으로 완료 후 그 결과를 대표단 파견 등을 통해 알제리 정부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용역에 의하면 알제항 유류부두 확충사업, 베자이야항 다목적 부두 건설사업 등은 시급하여 조기발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양수산부에서는 한국기업이 참여 가능토록 알제리 정부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자료를 통해 현재 국내 건설사 중 한 곳이 알제리 젠젠항의 방파제 확장 공사를 수행 중에 있으며 인근 신규 컨테이너 부두 공사의 추가 수주도 유력한 단계에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새롭게 따오르고 있는 극동러시아를 비롯해, 포스트차이나로 주목받는 미얀마, 남미개발을 선도하는 페루, 유럽-중동-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알제리 등 잠재력을 가진 거점 국가의 항만 개발 사업에 관한 정보를 소개하는 장이 마련됐다.
지난달 27일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주관하는 투자설명회가 개최됐다. 이 날 자리에서는 러시아 슬라비안카항, 미얀마 띨라와항, 페루 마르코나항, 알제리 젠젠항 등 6개 항만의 현황과 투자 정보 등이 소개되었다. 김성범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장은 이 날 설명회에서 “이번 소개되는 사업 분야는 해운.물류 기업과 에너지.건설.제조 등 화주기업의 동반진출이 가능한 분야로 내년부터 관련 지원사업도 본격 추진하겠다” 고 밝혔다.
극동 러시아 슬라비안카항
극동 러시아는 북극해 항로 운영의 최대 수혜 지역 중 하나로 중국 동북3성 물량의 효율적인 물류 루트일 뿐 아니라 러시아 정부차원에서 국가 균형발전 및 신성장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는 지역이다.
Tranzit-DV 그룹은 9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지주회사로 정유와 선박급유 등 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물류.무역 분야로 영역을 확대하면서 극동 러시아에서 복합물류사업을 추진 중이며 슬라비안카항을 중심으로 한 유류 내빙선 운영과 플로팅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을 비롯하여 자루비노항의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등의 사업 확대를 계획 중이다.
Tranzit-DV 그룹은 우선적으로 북극해 운항이 가능한 유류 내빙선 3척을 7,750만 달러에 구입하고 1,250만 달러를 투입해 플로팅 컨테이너 터미널 설치를 추진하면서 해외 투자유치를 고려 중이다.
미얀마, 띨라와항 오일터미널 사업
서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길목에 위치한 미얀마는 전략적 요충지로 각광받아 왔다. 수입의 80%, 수출의 43%가 해상무역을 통해 운송되는 미얀마의 최다 물동량 처리 항만은 양곤항으로 미얀마 전체 수출입 물동량의 90%를 처리하고 있다.
미얀마 KMA 그룹의 자회사인 KMA Shipping은 오일 터미널 및 배후 보관시설의 개발.운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MA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매월 상당량의 유류를 미얀마로 수입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양곤의 유류수입 수요 증가 추세와 비교해 보관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을 착안하여 KMA Shipping을 통해 양곤에서 약 25km 떨어져 있는 띨라와공업지대에 25에이커 상당의 부지를 확보하고 탱크 2기를 건설 중에 있다.
KMA는 향후 추가적으로 4기의 탱크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건설비용과 터미널 운영 노하우를 확보하기 위해 외구계 기업과 합작투자 등을 고려 중이다.
페루 항만개발 사업
중남미 국가 중 가장 높은 경제 성장세를 보여온 페루는 광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투자 유입으로 지난 2003년 이후 매년 6%이상의 성장세를 지속해 왔다. 풍부한 광물자원을 바탕으로 지난해 대외교역은 45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한 바 있다. 교역 비중으로 우리나라는 페루의 9번째 수출국이며 7번째 수입 대상국이다.
페루 항만개발 사업은 지난 12년 7월 체결된 한국 해양수산부와 페루 교통통신부 간 항만개발 협력에 관한 MOU에 근거하여 추진 중인 정부 간 협력 사업이다.
현재 페루는 경제성장 및 에너지 분야 투자로 해상 물동량이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어 페루 교통통신부는 항만시설 확충 및 항만하역 능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페루 정부는 중부 지역의 광물, 농산물 등 운송을 담당할 신규 항만 개발 예정지로 마르코나항을 선정하였으며 항만 개발에 관련된 협력 방안을 우리나라에 요청한 상태다.
지난 2009년 마르코나항은 국가 주요 개발사업으로 지정되었지만 인근 지역의 광산 생산일시가 2016년 이후로 예상되어 우선 발주 순위에서 밀린 바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마르코나 신항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페루 정부에 제공할 예정이며 이번 용역 결과가 페루 정부의 개발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한국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페루 정부의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알제리 항만개발 사업
원유 세계 14위, 천연가스 세계 8위의 자원부국인 알제리는 아프리카 3위의 경제대국으로 꾸준한 성장세가 전망되고 있다. 알제리는 해안선을 따라 약 40개의 항만을 운영 중에 있으나 일부항은 소규모, 시설 낙후, 비효율적인 운영 등으로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알제리 항만개발 사업은 우리나라 해양수산부와 알제리 교통부 간의 항만개발 협력에 관한 합의의사록에 근거하여 추진 중인 정부 간 항만협력사업이다.
알제리 정부는 SNAT 2025(국가 중기계획)에 의거 각종 인프라 사업을 활발히 유치 중이며 항만 부문에서도 유류, 가스 등 에너지 수출 증가 및 대 유럽간 물동량 증가에 따른 항만기반시설 확충, 노후 항만시설 및 운영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알제리 교통부는 중심항만인 수도 알제항의 포화에 따른 항만 확장 및 대체항만의 필요성, 젠젠.안나바 항 등 주요 6개 항만에 대한 조속한 국가사업 반영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화방안을 우리정부에 요청해 왔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약 1년에 걸쳐 6개항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타탕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 달 안으로 완료 후 그 결과를 대표단 파견 등을 통해 알제리 정부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용역에 의하면 알제항 유류부두 확충사업, 베자이야항 다목적 부두 건설사업 등은 시급하여 조기발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양수산부에서는 한국기업이 참여 가능토록 알제리 정부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자료를 통해 현재 국내 건설사 중 한 곳이 알제리 젠젠항의 방파제 확장 공사를 수행 중에 있으며 인근 신규 컨테이너 부두 공사의 추가 수주도 유력한 단계에 있다고 덧붙였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