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세계 최대 컨테이너 항만 부상
세계 10대 항만중 8개 항만이 아시아…부산 5위 유지
중국 항만의 기세가 무서울 정도로 거세지고 있다. 특히 상하이항과 닝보-저우산항, 선전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는 한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회장 사공일)가 조사 분석한 ‘2010 세계 10대 컨테이너항만의 처리실적’에 따르면 상하이항의 경우 급기야 싱가포르항을 제치고 세계 1위 컨테이너항으로 부상했다. 상하이항은 지난해 2,907만TEU의 컨테이너를 처리, 싱가포르항(2,843만TEU)을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1위 항만으로 도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항이 싱가포르항을 제치고 1위 항만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상하이항의 경우 구미지역 물동량 증대 및 국제해운센터 구축 사업 등에 힘입어 물동량이 전년대비 16.3% 증가한 반면 싱가포르항의 경우 환적물량 증가세 둔화로 물동량이 9.9% 증가에 그친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 김석융 부장
상하이항·싱가포르항에 이어 홍콩항이 2,363만TEU로 3위, 중국 선전항이 2,251만TEU로 4위, 부산항이 1,428만TEU로 전년과 동일하게 5위를 기록했으며, 닝보-저우산항 1,314만TEU로 6위, 광저우항 1,212만TEU로 7위, 칭다오항 1,201만TEU로 8위, 두바이항 1,150만TEU로 9위, 로테르담항 1,110만TEU로 10위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세계 10대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시현한 가운데 특히 닝보-저우산항과 선전항이 전년대비25.1%와 23.3%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부산항도 부산 신항의 본격 가동과 환적화물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8.6%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중국의 닝보-저우산항의 급성장으로 양항간 물동량 차이가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무협은 올해 상하이항과 싱가포르항 처리 물동량이 3,000만TEU를 처음으로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선전항(4위)이 홍콩항(3위)을, 텐진항(11위)이 로테르담(10위)항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 상하이항 = 지난 2003년 부산항(4위), 2007년 홍콩항(3위) 추월에 이어 지난해 싱가포르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컨’ 항만으로 도약했다. 작년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907만TEU로 전년비 16.3% 증가했다. 연간 컨테이너 처리실적을 보면 2007년 2,615만TEU 2008년 2,798만TEU, 2009년 2,500만TEU 등 기록했다가 작년 2,907만TEU를 달성해 3,000만TEU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상하이항의 환적비중 37.7%를 기록해 명실상부한 아시아 허브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구미시장 및 중국 국내경기 회복, 상하이엑스포, 그리고 상하이 국제해운센터 구축사업의 전면 추진에 힘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포르항 = 지난 2005년 홍콩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올라섰으나, 작년 상하이항에 추월당하여 2위로 물러났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843만TEU로 전년비 9.9% 증가에 머물렀다. 상하이항의 싱가포르항 추월은 몇 년 전부터 예견된 결과이며, 싱가포르항의 부진보다는 중국 항만의 선전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싱가포르항의 경우 환적 물동량을 두고 동남아지역 항만과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져 1위 자리를 지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홍콩항 = 지난 2007년에 상하이항에 2위 자리를 내준 후 4년 연속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353만TEU(추정)로 전년비 12.1% 증가했다. 세계 경기회복, 동남아지역의 베트남, 인도네시아 환적화물 증가에 힘입어 작년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증가햇으나 지난 2008년 경제위기 이전 실적(2,400만TEU)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선전항, 광저우항 등 주변 항만과의 치열한 경쟁에 따른 화물원천 분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선전항 = 지난 2003년 대만 카오슝항을 앞선 후 연속 8년간 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251만TEU로 전년비 23.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같은 실적은 중국 화남지역의 수출화물 급증, 선전항 기항 정기선사 증가 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서됐다. 특히 홍콩항과의 격차는 계속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선전항이 홍콩을 따라잡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홍콩항과 선전항의 물동량 격차는 지난 2007년 507만TEU에서 지난해 102만TEU까지 큰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위인 부산항과의 격차는 833만TEU로 지난 2009년(630만TEU)을 제외하고 더욱 벌어지고 있다.
■부산항 = 지난 2003년 상하이항과 선전항에 추월당한 후 8년 연속 5위를 수성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418만TEU로 지난 2009년 대비 18.4% 증가했다. 지난해 부산 신항의 본격 가동으로 처리실적 증가세에 탄력이 가해졌으며, 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 경제권과의 항로서비스 확대로 환적화물 증가했다. 그러나 금년 닝보-저우산항의 지속적인 내륙 배후부지 확장, 정기노선 확충, 선석 개발 등은 부산항의 세계 5위 고수에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닝보-저우산항 = 지난 2006년부터 통합 운영을 시작한 닝보-저우산항은 지난해 두바이항과 광저우항을 제치고 6위로 상승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314만TEU로 전년비 25.1%나 증가했다. 그중 닝보항 처리실적은 1,300만TEU로 전년 대비 24.7% 증가했다.
세계 경기회복에 더불어 국내무역 컨테이너 환적 네트워크 구축과 신규노선 개척에 힘입어 처리실적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Sea & Rail 복합운송 개발을 통해 항만 배후지를 내륙 깊은 곳으로 확장됐으며 지난해년 노선수 228개(12개 증가), 원양간선 비중이 53.5% 차지하는 등 내륙 복합운송 및 글로벌 항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광저우항 = 지난 2008년 8위로 급부상한 광저우항은 닝보-저우산항의 선전과 타 항만 대비 상대적인 부진으로 인해 7위로 하락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212만TEU로 전년비 8.3% 증가했으며 그중 중국 국내무역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679만TEU를 기록, 전년 대비 13.3%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세계 경기회복, 중국의 내수경제 촉진정책 등에 힘입어 지난해 광저우항의 ‘컨’ 처리실적이 증가했으나, 경제위기 전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는 모습이다. 현재 광저우 지역의 원양화물은 광저우항보다는 원양 정기노선과 기항 선사가 보다 많은 선전항을 더욱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칭다오항 = 지난 2007년 10위에 랭킹된 칭다오항은 2단계 상승한 8위를 기록, 급부상하는 항만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201만TEU로 전년비 17.1% 증가했다. 북중국 최대 규모의 ‘컨’ 환적항으로 발해만에서의 입지우위 활용, 배후지와 연계 운송망 확장, 신규 시설 및 노선 확충 등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항만이다.
■두바이항 = 지난 2004년 10위권에 진입한 두바이항은 지난해에는 9위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150만TEU(추정)로 전년비 3.4%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처리실적은 550만TEU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에 그쳤다. 지난 2009년 말 두바이 경제위기의 영향, 환적 물동량을 둘러싼 주변 항만들과의 경쟁으로 작년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회복에도 불구하고 두바이항의 실적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테르담항 = 유럽 최대 ‘컨’ 처리항인 로테르담항은 중국 항만의 약진으로 '09년에 이어 지난 해 겨우 10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100만TEU로 전년비 13.9% 증가했다. 세계 경기회복과 더불어 아시아-유럽 노선을 점차적으로 확대, 더욱 많은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투입함에 따라 실적이 증가했다. 금년에는 중국 텐진항이 지속적으로 신규노선 개발, 환발해 내지선 운송망 강화, 내륙 배후지 확장함에 따라 텐진항에 10위 자리를 내줄 가능성 높다. 지난해 텐진항과의 물동량 격차는 불과 110만TEU에 불고하다.
한편 이들 10대 항만 중 두바이, 로테르담을 제외한 8개 항만이 아시아 항만으로, 컨테이너 처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해운 영역에서 아시아계 항만의 집중화 현상이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10대 항만중 8개 항만이 아시아…부산 5위 유지
중국 항만의 기세가 무서울 정도로 거세지고 있다. 특히 상하이항과 닝보-저우산항, 선전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는 한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회장 사공일)가 조사 분석한 ‘2010 세계 10대 컨테이너항만의 처리실적’에 따르면 상하이항의 경우 급기야 싱가포르항을 제치고 세계 1위 컨테이너항으로 부상했다. 상하이항은 지난해 2,907만TEU의 컨테이너를 처리, 싱가포르항(2,843만TEU)을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1위 항만으로 도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항이 싱가포르항을 제치고 1위 항만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상하이항의 경우 구미지역 물동량 증대 및 국제해운센터 구축 사업 등에 힘입어 물동량이 전년대비 16.3% 증가한 반면 싱가포르항의 경우 환적물량 증가세 둔화로 물동량이 9.9% 증가에 그친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 김석융 부장
상하이항·싱가포르항에 이어 홍콩항이 2,363만TEU로 3위, 중국 선전항이 2,251만TEU로 4위, 부산항이 1,428만TEU로 전년과 동일하게 5위를 기록했으며, 닝보-저우산항 1,314만TEU로 6위, 광저우항 1,212만TEU로 7위, 칭다오항 1,201만TEU로 8위, 두바이항 1,150만TEU로 9위, 로테르담항 1,110만TEU로 10위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세계 10대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시현한 가운데 특히 닝보-저우산항과 선전항이 전년대비25.1%와 23.3%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부산항도 부산 신항의 본격 가동과 환적화물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8.6%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중국의 닝보-저우산항의 급성장으로 양항간 물동량 차이가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무협은 올해 상하이항과 싱가포르항 처리 물동량이 3,000만TEU를 처음으로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선전항(4위)이 홍콩항(3위)을, 텐진항(11위)이 로테르담(10위)항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 상하이항 = 지난 2003년 부산항(4위), 2007년 홍콩항(3위) 추월에 이어 지난해 싱가포르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컨’ 항만으로 도약했다. 작년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907만TEU로 전년비 16.3% 증가했다. 연간 컨테이너 처리실적을 보면 2007년 2,615만TEU 2008년 2,798만TEU, 2009년 2,500만TEU 등 기록했다가 작년 2,907만TEU를 달성해 3,000만TEU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상하이항의 환적비중 37.7%를 기록해 명실상부한 아시아 허브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구미시장 및 중국 국내경기 회복, 상하이엑스포, 그리고 상하이 국제해운센터 구축사업의 전면 추진에 힘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포르항 = 지난 2005년 홍콩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올라섰으나, 작년 상하이항에 추월당하여 2위로 물러났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843만TEU로 전년비 9.9% 증가에 머물렀다. 상하이항의 싱가포르항 추월은 몇 년 전부터 예견된 결과이며, 싱가포르항의 부진보다는 중국 항만의 선전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싱가포르항의 경우 환적 물동량을 두고 동남아지역 항만과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져 1위 자리를 지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홍콩항 = 지난 2007년에 상하이항에 2위 자리를 내준 후 4년 연속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353만TEU(추정)로 전년비 12.1% 증가했다. 세계 경기회복, 동남아지역의 베트남, 인도네시아 환적화물 증가에 힘입어 작년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증가햇으나 지난 2008년 경제위기 이전 실적(2,400만TEU)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선전항, 광저우항 등 주변 항만과의 치열한 경쟁에 따른 화물원천 분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선전항 = 지난 2003년 대만 카오슝항을 앞선 후 연속 8년간 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251만TEU로 전년비 23.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같은 실적은 중국 화남지역의 수출화물 급증, 선전항 기항 정기선사 증가 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서됐다. 특히 홍콩항과의 격차는 계속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선전항이 홍콩을 따라잡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홍콩항과 선전항의 물동량 격차는 지난 2007년 507만TEU에서 지난해 102만TEU까지 큰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위인 부산항과의 격차는 833만TEU로 지난 2009년(630만TEU)을 제외하고 더욱 벌어지고 있다.
■부산항 = 지난 2003년 상하이항과 선전항에 추월당한 후 8년 연속 5위를 수성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418만TEU로 지난 2009년 대비 18.4% 증가했다. 지난해 부산 신항의 본격 가동으로 처리실적 증가세에 탄력이 가해졌으며, 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 경제권과의 항로서비스 확대로 환적화물 증가했다. 그러나 금년 닝보-저우산항의 지속적인 내륙 배후부지 확장, 정기노선 확충, 선석 개발 등은 부산항의 세계 5위 고수에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닝보-저우산항 = 지난 2006년부터 통합 운영을 시작한 닝보-저우산항은 지난해 두바이항과 광저우항을 제치고 6위로 상승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314만TEU로 전년비 25.1%나 증가했다. 그중 닝보항 처리실적은 1,300만TEU로 전년 대비 24.7% 증가했다.
세계 경기회복에 더불어 국내무역 컨테이너 환적 네트워크 구축과 신규노선 개척에 힘입어 처리실적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Sea & Rail 복합운송 개발을 통해 항만 배후지를 내륙 깊은 곳으로 확장됐으며 지난해년 노선수 228개(12개 증가), 원양간선 비중이 53.5% 차지하는 등 내륙 복합운송 및 글로벌 항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광저우항 = 지난 2008년 8위로 급부상한 광저우항은 닝보-저우산항의 선전과 타 항만 대비 상대적인 부진으로 인해 7위로 하락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212만TEU로 전년비 8.3% 증가했으며 그중 중국 국내무역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679만TEU를 기록, 전년 대비 13.3%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세계 경기회복, 중국의 내수경제 촉진정책 등에 힘입어 지난해 광저우항의 ‘컨’ 처리실적이 증가했으나, 경제위기 전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는 모습이다. 현재 광저우 지역의 원양화물은 광저우항보다는 원양 정기노선과 기항 선사가 보다 많은 선전항을 더욱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칭다오항 = 지난 2007년 10위에 랭킹된 칭다오항은 2단계 상승한 8위를 기록, 급부상하는 항만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201만TEU로 전년비 17.1% 증가했다. 북중국 최대 규모의 ‘컨’ 환적항으로 발해만에서의 입지우위 활용, 배후지와 연계 운송망 확장, 신규 시설 및 노선 확충 등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항만이다.
■두바이항 = 지난 2004년 10위권에 진입한 두바이항은 지난해에는 9위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150만TEU(추정)로 전년비 3.4%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처리실적은 550만TEU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에 그쳤다. 지난 2009년 말 두바이 경제위기의 영향, 환적 물동량을 둘러싼 주변 항만들과의 경쟁으로 작년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회복에도 불구하고 두바이항의 실적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테르담항 = 유럽 최대 ‘컨’ 처리항인 로테르담항은 중국 항만의 약진으로 '09년에 이어 지난 해 겨우 10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100만TEU로 전년비 13.9% 증가했다. 세계 경기회복과 더불어 아시아-유럽 노선을 점차적으로 확대, 더욱 많은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투입함에 따라 실적이 증가했다. 금년에는 중국 텐진항이 지속적으로 신규노선 개발, 환발해 내지선 운송망 강화, 내륙 배후지 확장함에 따라 텐진항에 10위 자리를 내줄 가능성 높다. 지난해 텐진항과의 물동량 격차는 불과 110만TEU에 불고하다.
한편 이들 10대 항만 중 두바이, 로테르담을 제외한 8개 항만이 아시아 항만으로, 컨테이너 처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해운 영역에서 아시아계 항만의 집중화 현상이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