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특송협의체 구성에 대한 설문조사
업계, 국제특송협의체 구성 ‘필요하다!’
이익 대변역할 기대…참여도·의견조율·운영비 마련이 우려돼
지난호 쥬피터익스프레스 추동화 대표의 국제특송협의체 구성에 대해 업계가 대부분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 상반기 중에는 협의체 구성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조사는 본지가 12월 둘째주 주요 국제특송업체 30여개사를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그만큼 업체들은 영향력있는 특송협의체 구성을 내심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논의가 구체화되기에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필요하기는 하지만 어떻게 의견을 조율하고 운영을 해야 할지, 재원은 누가 마련해야 할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이에 본지는 오는 12월 29일 에어포트 호텔에서 협의체 구성에 관한 프리젠테이션을 하고 업계의 의견을 구할 계획이다. / 김석융 부장·송아랑 기자
국제특송협의체의 필요성에 대해 압도적으로 ‘필요하다’라는 응답을 특송업계로부터 얻어냈다. 전체 응답자의 94%가 이같이 답했으며 ‘필요없다’는 응답은 6%에 불과했다. 필요한 이유에 대해 개별 인터뷰한 결과 대다수가 “관련 정부기관 및 다른 업계간의 의견 조율에 국제특송업계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반응이었다. 단일한 창구를 통해 업계 공동의 이익을 외부에 표출할 필요성이 있지만 지금까지 개별적인 접촉으로만 이어져 불이익을 받았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물류단체도 있지만 상업송달업을 하는 국제특송과 완전 다른 업종이어서 업계 이익을 대표하기에 아쉬움이 많았다는 응답도 있었다. 소화물 국제특송의 성격 상 중후장대한 일반 카고 또는 로지스틱스와는 규모와 내용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얘기다.
비록 극소수이기는 하지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한 국제특송업체 관계자는 “국제특송협의체가 그동안 수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실제로 이행되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했다”면서 “특히 국제특송업계 안에도 다양한 업계군이 있어 이를 조율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답했다. 다시말해 실질적으로 필요하기는 하지만 정작 구성해 놓고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비등했다.
“협의체를 통해 해결하고 싶은 내용”에 대해 반수에 가까운 업체들이 ‘운임 정상화’를 꼽았다. 또 금년 특송통관 절차 변경에 대해 업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의견 자체를 모을 창구가 없었기 때문)는 점을 들어 ‘특송통관 절차 조율’(응답자 중 22%)과 ‘국제특송업 및 상업서류송달업 관련 제도 정비’(22%) 등에 대해서도 협의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부대운임 징수 관례화를 위한 업계 공조’(4%)와 ‘공동 구매 등 비용절감을 위한 공동사업 모색’(4%)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 소수의견이기는 하지만 “협의체의 추천서가 상업서류송달업 신규 등록 시 필수 사항이 될 수 있도록 해 부분별한 업계 난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또한 “건실한 업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부 및 항공사 지원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주문과 “고질적인 미수금 근절을 위해서는 협의체가 IATA 항공화물운임정산소(CASS Korea)처럼 특송화물 운임정산소 역할을 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있었다.
“쇳뿔도 당김에 빼자!”
하지만 전체 업계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대표적인 단체 구성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은 매우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이왕 말이 나왔으니 되도록 빨리 구성하자”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실제로 필요성에 답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특송협의체 구성시점”을 묻자, 50%의 응답자들이 “새해 상반기 중에 구성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13%의 응답자들은 더 시기를 앞당겨 “새해 1월 중에 하자”고 답했다.
그러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토론과 사전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의견조율 후 시행시기를 결정해야 한다”고 답한 업체도 31%에 달했다. “내년 중 단체 구성을 하자”고 답한 업체는 6%에 불과했다.
한편 “협의체 구성 이후 예상되는 가장 큰 어려운 점”에 대해 절반이 넘는 55%의 응답자가 ‘참여도’라고 답했다. 한 응답자는 “현재 김포세관특송발전협의회(김포특발협)도 구성된지 수년이 됐지만 현재 참여도가 높은 편이 아니다”며 “업계 특성 상 전체 협의체가 구성됐다 하더라도 사소한 의견 충돌이나 자신의 이익과 상관이 없을 때 참여하지 않는 사례를 많이 봐 왔다”고 우려했다.
‘의견조율’이 협의체 구성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응답도 28%에 달했다. 한 특송업체 관계자는 “지금 업계군 구조를 보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특송기 4개사와 토종특송업계군, 홀셀러 업계군, COB업계군, 대형물류기업군 등 5개 업계군이 있는데 이들의 지향점이 각기 달라 이를 조율하는 것만도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4월 말경에 있었던 ‘국제특송협의회(가칭)’ 역시 각 업계군의 상이한 의견으로 흐지부지된 경험이 있다.
특히 글로벌 특송업계군에서는 협의체 구성에 대해 관심이 별로 없어 보였다. 시장 자체를 주도하기 있어 필요할 시 비공식 채널로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데다 협의회 가입에 대한 각 사별 규제가 심하기 때문에 하고 싶어도 어렵다는 입장이다.
협의체 운영비 마련에 대해서도 상당한 우려가 있었다. 17%의 응답자는 이같이 답하며 먼저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로컬 특송업체 관계자는 “협의체가 어떤 형태로든 단순 협의회 정도로 머문다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사무국이 필요하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재원 마련이 필요한데 최초 1년 경비만 해도 1억원 가까이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12월 29일게 협의체 설명회 예정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우려들로 인해 실행을 하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중견 특송업체 모 사장은 “필요성은 있는데 리드할 수 있는 업계군이 형성되지 못해 아쉽다”며 “불가능해 보이더라도 제안하고 의견을 조율해 간다면 못할 것도 없다”고 주장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 역시 “우리나라 국제특송이 하나의 산업군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이제 경쟁보다 상호 협조가 필요한 시기”라며 “우선 국제특송업계 원로들이 나서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한편 본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12월 29일 강서구 송정동의 에어포트호텔 회의실에서 ‘국제특송협의체 구성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이 설명회를 통해 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대한 제안을 하고 주요 특송업체들과의 의견조율 및 구성 일정을 협의할 방침이다.
업계, 국제특송협의체 구성 ‘필요하다!’
이익 대변역할 기대…참여도·의견조율·운영비 마련이 우려돼
지난호 쥬피터익스프레스 추동화 대표의 국제특송협의체 구성에 대해 업계가 대부분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 상반기 중에는 협의체 구성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조사는 본지가 12월 둘째주 주요 국제특송업체 30여개사를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그만큼 업체들은 영향력있는 특송협의체 구성을 내심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논의가 구체화되기에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필요하기는 하지만 어떻게 의견을 조율하고 운영을 해야 할지, 재원은 누가 마련해야 할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이에 본지는 오는 12월 29일 에어포트 호텔에서 협의체 구성에 관한 프리젠테이션을 하고 업계의 의견을 구할 계획이다. / 김석융 부장·송아랑 기자
국제특송협의체의 필요성에 대해 압도적으로 ‘필요하다’라는 응답을 특송업계로부터 얻어냈다. 전체 응답자의 94%가 이같이 답했으며 ‘필요없다’는 응답은 6%에 불과했다. 필요한 이유에 대해 개별 인터뷰한 결과 대다수가 “관련 정부기관 및 다른 업계간의 의견 조율에 국제특송업계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반응이었다. 단일한 창구를 통해 업계 공동의 이익을 외부에 표출할 필요성이 있지만 지금까지 개별적인 접촉으로만 이어져 불이익을 받았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물류단체도 있지만 상업송달업을 하는 국제특송과 완전 다른 업종이어서 업계 이익을 대표하기에 아쉬움이 많았다는 응답도 있었다. 소화물 국제특송의 성격 상 중후장대한 일반 카고 또는 로지스틱스와는 규모와 내용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얘기다.
비록 극소수이기는 하지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한 국제특송업체 관계자는 “국제특송협의체가 그동안 수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실제로 이행되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했다”면서 “특히 국제특송업계 안에도 다양한 업계군이 있어 이를 조율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답했다. 다시말해 실질적으로 필요하기는 하지만 정작 구성해 놓고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비등했다.
“협의체를 통해 해결하고 싶은 내용”에 대해 반수에 가까운 업체들이 ‘운임 정상화’를 꼽았다. 또 금년 특송통관 절차 변경에 대해 업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의견 자체를 모을 창구가 없었기 때문)는 점을 들어 ‘특송통관 절차 조율’(응답자 중 22%)과 ‘국제특송업 및 상업서류송달업 관련 제도 정비’(22%) 등에 대해서도 협의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부대운임 징수 관례화를 위한 업계 공조’(4%)와 ‘공동 구매 등 비용절감을 위한 공동사업 모색’(4%)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 소수의견이기는 하지만 “협의체의 추천서가 상업서류송달업 신규 등록 시 필수 사항이 될 수 있도록 해 부분별한 업계 난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또한 “건실한 업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부 및 항공사 지원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주문과 “고질적인 미수금 근절을 위해서는 협의체가 IATA 항공화물운임정산소(CASS Korea)처럼 특송화물 운임정산소 역할을 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있었다.
“쇳뿔도 당김에 빼자!”
하지만 전체 업계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대표적인 단체 구성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은 매우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이왕 말이 나왔으니 되도록 빨리 구성하자”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실제로 필요성에 답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특송협의체 구성시점”을 묻자, 50%의 응답자들이 “새해 상반기 중에 구성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13%의 응답자들은 더 시기를 앞당겨 “새해 1월 중에 하자”고 답했다.
그러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토론과 사전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의견조율 후 시행시기를 결정해야 한다”고 답한 업체도 31%에 달했다. “내년 중 단체 구성을 하자”고 답한 업체는 6%에 불과했다.
한편 “협의체 구성 이후 예상되는 가장 큰 어려운 점”에 대해 절반이 넘는 55%의 응답자가 ‘참여도’라고 답했다. 한 응답자는 “현재 김포세관특송발전협의회(김포특발협)도 구성된지 수년이 됐지만 현재 참여도가 높은 편이 아니다”며 “업계 특성 상 전체 협의체가 구성됐다 하더라도 사소한 의견 충돌이나 자신의 이익과 상관이 없을 때 참여하지 않는 사례를 많이 봐 왔다”고 우려했다.
‘의견조율’이 협의체 구성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응답도 28%에 달했다. 한 특송업체 관계자는 “지금 업계군 구조를 보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특송기 4개사와 토종특송업계군, 홀셀러 업계군, COB업계군, 대형물류기업군 등 5개 업계군이 있는데 이들의 지향점이 각기 달라 이를 조율하는 것만도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4월 말경에 있었던 ‘국제특송협의회(가칭)’ 역시 각 업계군의 상이한 의견으로 흐지부지된 경험이 있다.
특히 글로벌 특송업계군에서는 협의체 구성에 대해 관심이 별로 없어 보였다. 시장 자체를 주도하기 있어 필요할 시 비공식 채널로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데다 협의회 가입에 대한 각 사별 규제가 심하기 때문에 하고 싶어도 어렵다는 입장이다.
협의체 운영비 마련에 대해서도 상당한 우려가 있었다. 17%의 응답자는 이같이 답하며 먼저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로컬 특송업체 관계자는 “협의체가 어떤 형태로든 단순 협의회 정도로 머문다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사무국이 필요하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재원 마련이 필요한데 최초 1년 경비만 해도 1억원 가까이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12월 29일게 협의체 설명회 예정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우려들로 인해 실행을 하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중견 특송업체 모 사장은 “필요성은 있는데 리드할 수 있는 업계군이 형성되지 못해 아쉽다”며 “불가능해 보이더라도 제안하고 의견을 조율해 간다면 못할 것도 없다”고 주장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 역시 “우리나라 국제특송이 하나의 산업군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이제 경쟁보다 상호 협조가 필요한 시기”라며 “우선 국제특송업계 원로들이 나서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한편 본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12월 29일 강서구 송정동의 에어포트호텔 회의실에서 ‘국제특송협의체 구성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이 설명회를 통해 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대한 제안을 하고 주요 특송업체들과의 의견조율 및 구성 일정을 협의할 방침이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